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기
자기
세라믹스
중국자기
사기그릇
세라믹
사기 그릇
d라이브러리
"
도자기
"(으)로 총 167건 검색되었습니다.
3화 괴짜 수학자 모일러의 저택을 통과하라!
수학동아
l
201203
않은데? 우와! 이건 진짜 금인가?”폴이 갑자기 발걸음을 멈추더니 반짝이는 황금
도자기
를 만지작거리기 시작했다. 이어 괴상한 생물 형태로 생긴 석고상들을 하나하나 만져 보며 신기해 했다. 폴리스는 화들짝 놀라며 폴을 말렸다.“그만 둬! 괜히 아무거나 만졌다가 무슨 일이라도 생기면 ... ...
우산 펼치고 지구 띄우는 물방울 조각가
과학동아
l
201203
왕관모양으로 터지고 있지만, 실제로는 눈을 깜빡한 사이에 일어난 일이다.➌ 크림
도자기
(White Vase On Blue)크림으로 빚은 하얀
도자기
. 물보다 걸쭉한 덕분에 위로 길게 늘어진 면이 아주 매끄러워 보인다.조그마한 물방울들이 둥근 띠모양으로 튕겼다.시간을 얼리는 개구쟁이 물리학도마틴 워프가 ... ...
Part5. 이사하는 날
과학동아
l
201203
까닥거렸다.“기억에 영혼이 담긴다는 생각은 해 본 적 없나?”“그럼요. 하다못해
도자기
같은 것도 영혼을 담죠. 그림에도 소설에도 담기죠. 사람은 본능적으로 혼이 담긴 것과 담기지 않은 것을 구분할 줄 알아요. 영화필름에 혼이 담기는데 하드디스크에 담기지 못할 건 뭐예요? 단지 본인은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03
어린 아이나 종이를 구겼을 때 나온 결과가 별 차이가 없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가
도자기
그릇처럼 깨지지 쉬운 것을 포장할 때 사이사이에 구긴 신문지를 끼어 넣어 충격을 줄이는 일은 아주 현명하다.구겨진 종이가 얼마나 단단한지에 대한 실험 결과는 사실 예전에 이론 연구에서 예측했던 ... ...
제5대 국새 모습을 드러내다
과학동아
l
201111
예술품이죠.
도자기
를 만든다고 생각해 보세요. 통째로 만드는 게 맞을까요, 아니면
도자기
를 조각조각 나누어 잇는 게 나을까요? 국새의 상징성과 예술성을 생각하면 일체형으로 만드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했습니다.”도 책임연구원의 이런 신념 때문에 제5대 국새는 인뉴와 인문을 붙여 한 번에 ... ...
Part 1. 조류, 광합성 절반 맡은 물속의 유비쿼터스
과학동아
l
201108
껍데기를 가지고 있다. 이들이 죽어 바다 밑바닥으로 가라앉으면 규조토가 되는데,
도자기
를 빚는 흙으로 쓰인다.와편모조류는 편모를 이용해 움직일 수 있으며 적조를 일으키기도 한다. 적조는 짧은 시간에 플랑크톤 숫자가 늘어나 바닷물 색깔이 붉게 변하는 현상이다. 적조가 생기면 물고기가 ... ...
빙글빙글 돌리면, 어떤 도형 될까?
수학동아
l
201108
손놀림에 따라
도자기
의 두께를 조절하면 아름다운 곡선으로 된
도자기
가 탄생한다.
도자기
를 수학적으로 해석하면 회전축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곡선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해 생긴 입체도형인 셈이다.이뿐만이 아니다. 여름철 바닷가에 갈 때 필요한 대표적인 물놀이 용품인 튜브는 구멍이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06
역시 무덤을 감싸고 있는 1.3m 두께의 백색점토다. 현지인들은 ‘백고니’라고 부르는데,
도자기
의 원료가 되는 카오린이 주 성분이다. 4중 나무관을 만들어 시신을 넣었다. 규모에는 큰 차이가 있지만 나무관-나무틀-충진재 순서로 시신을 감싸 땅에 넣는 매장문화는 비슷한 셈이다.한 가지 의문점을 ... ...
인도 최고의 여배우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05
숙소를 잡은 허풍 일행. 언제나처럼 맛있는 음식을 찾아 관광을 시작한다.“도형아, 저기
도자기
굽는 가마 같은 것이 보이지? 이탈리아에서 봤던 것과 같은 것이란다. 맛있는음식을 만드는 곳이지.”“음식에 대한 기억력은 선생님께서 세계 최고인것 같아요. 나중에 경성에 가면 음식점을 해도 ...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1
잘 견디는 니켈 합금도 최고 1000℃ 정도만 견딜 수 있죠. 그래서 우주왕복선 표면에는
도자기
와 비슷한 세라믹조각을 촘촘하게 붙여야 해요. 하지만 두 가지 이상의 금속원소를 결합한 화합물인 금속간 화합물은 그보다도 높은 열을 견딜 수 있어요. 그래서 이 재료를 미래의 우주선재료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