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응
대비
준비
조치
방패막이
예행
예비
d라이브러리
"
대처
"(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중학 수학만 잘했어도! 물거품이 된 마이크로소프트 입사
수학동아
l
201607
그런데 이렇게 쉬운 문제를 틀렸다고 하니 면접자가 당황할 수밖에 없지요. 이때 어떻게
대처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이 같은 문제를 출제한다고 합니다 ...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
수학동아
l
201607
마치 좀비처럼 말입니다. 만약 이 바이러스의 정체가 좀비라면 우리는 어떻게
대처
해야 할까요?좀비가 나타났다는 소식을 들은 사람들은 대부분 좀비가 있는 곳에서 최대한 멀리 도망칠 것이다. 집에 숨어봤자 소용없다는 것은 이미 많은 영화를 통해서 접했다. 좀비는 아무리 힘을 써도 지치지도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7
4~5번 연속으로 이상한 수를 두고 나서야 자신의 승률을 제대로 계산하고, 상대의 반응에
대처
할 수 있었지요.사람이라면 곧바로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반응했겠지만, 알파고는 계속 자신이 두는 수가 가장 이길 확률이 높은 수라고 인식하기 때문에 그러지 못했어요. 결국 알파고는 첫 패배 선언을 ... ...
Intro. 인체 플랫폼
과학동아
l
201606
이르기까지 전 신체는 설계 가능한 대상으로 변했다. 질병과 장애, 노화에 대한 우리의
대처
는 치료가 아닌 대체와 강화로 바뀌었으며, 이에 따른 신체와 지적 능력의 확장은 끝을 가늠하기 어렵다.인간인 듯 인간이 아닌 또 다른 존재. 머잖아 눈앞에 등장할 그들에게 우린 어떤 세상을 보여줘야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과학동아
l
201606
거쳐도 또다시 예측을 벗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예측 불가능성’에 대한
대처
를 우리는 간지럼에서 배울 수 있고 인공지능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김 교수는 “단순히 기존의 컴퓨터공학만으로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데 한계가 있다”며 “행동은 환경과 상호작용해서 끊임없이 운동하고 ... ...
[Tech & Fun] 당신이 이불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606
노동으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됐다면, 이는 당연한 현상이며 가장 자연스러운
대처
법은 역시 휴식이다.무력감의 또 다른 원인은 지금 꼭 해야 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거나, 하고 싶은 일이 전혀 없는 상태가 지속되는 상태를 의미하는 동기 부족이다. 정말 하고 싶은 일이 생기면 사람은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
과학동아
l
201605
병원에 데려가야 한다고 생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아이를 때린 것도, 응급 상황에
대처
하는 방식도 자신이 겪은 것을 기준으로 ‘괜찮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최 씨를 면담한 프로파일러는 “학대 부모들은 공통적으로 ‘나는 그 방법밖에 없었다’라는 말을 많이 한다”고 설명했다. 자녀를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
과학동아
l
201605
사회적 평판이 하락하기는커녕 오히려 ‘보통 사람은 불편해 하는 상황에도 능숙하게
대처
하는 멋진 사람’으로 평가될 수 있다. 괴짜로만 여겨졌던 혼밥혼술족이 점점 사회에서 인정받고 있다는 얘기다.이는 혼밥혼술족의 절대적인 수가 늘어난 덕이 크다. 일본의 범죄심리학자 무기시마 후미오는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
과학동아
l
201605
1일자). 하 박사는 “상태가 심각한 아이는 자살 시도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빠른
대처
가 필요하다”고 말했다.3. 학대 피해 아동 위한 전문 의료진이 필요하다피해 아동을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고 또 다른 폭력을 막기 위해서는 병원의 역할이 중요하다. 강은영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
과학동아
l
201601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다. 변수를 정확히 파악해야 변화에도
대처
할 수 있다. 조현병과 조울증은 1800년대 후반까지 가을에 태어난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했다. 그러다 1900년대 초반으로 넘어가면서 지금처럼 봄에 태어난 사람 중심으로 변했다. 미국(1938년)과 스웨덴(1975년), 일본(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