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노트북"(으)로 총 2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으로 알아보는 컴퓨터의 역사! 넥슨컴퓨터박물관수학동아 l201407
- 또는 0.5초 단위로 흐르도록 ‘아두이노 스케치’ 환경에서 프로그래밍 했다. 아두이노를 노트북에서 분리하고 앞에 만들었던 빵판 스피커에 연결했다. 그러자 1초 단위로 전구의 불이 깜박이고 스피커의 소리가 끊어지는 아두이노 스피커가 완성됐다.Σ 진로정보아키비스트, 그것이 알고 싶다 ...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과학동아 l201407
- 붙어서, 잘못해서 높은 전류나 전압이 가해지면 전지가 타들어간다. 실제로 스마트폰과 노트북 배터리가 폭발하는 사고도 여러 번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려고 새어 나올 염려가 없는 고체 형태의 ‘고분자전해질’에 주목했지만, 유연하게 만드는 데 한계가 있었다(성능도 낮다). 그런데 지난 1월 ... ...
- 태블릿PC VS 노트북어린이과학동아 l201316
- 수 있는 복잡한 작업도 모두 가능하지요. 지금처럼 접어서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최초의 노트북은 1985년 일본 도시바 사가 만든 ‘T1100’이랍니다. 요즘에는 휴대성과 저렴한 가격을 강조한 넷북, 얇으면서도 성능이 뛰어난 울트라북, 태블릿PC를 결합한 탭북 같은 새로운 제품도 나오고 있어요 ...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 (정진원 삼성SDS EMS팀 기획파트장)과학동아 l201311
- 업무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려는 엔지니어들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컴퓨터와 노트북, 그리고 인터넷 보급이 충분하게 됐다고 생각하는 순간, 바로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도구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스틱스(SA)에 따르면 2012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사람 3명 ... ...
- 영화 한 편을 5초 만에 총알 전송?어린이과학동아 l201307
- 스마트폰이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고화질 동영상을 볼 수 있어요. 하지만 막상 동영상을 내려 받으려면 시간이 많이 걸리거나 배 ... 사용하는 전력도 40㎽로 매우 적어서 경제적이지요. 연구팀은 이 칩을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같은 휴대용 기기에 유용하게 쓸 수 있다고 발표했어요 ...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과학동아 l201304
- 채로 지속적인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운전석 옆에는 노트북을 든 연구원이 타는데 이 노트북이 차의 눈이 된다. 도로 상의 움직이는 물체와 움직이지 않는 물체를 순식간에 판별해 움직이는 물체는 빨간색으로, 움직이지 않는 물체는 흰색으로 나타낸다. 물체의 움직임 여부나 위치, 특성을 ... ...
- 와이파이는 왜 ‘찬밥’ 신세가 됐을까과학동아 l201302
- 무선 통신 기술을 일컫는다. 와이파이 통신을 하려면 인터넷에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AP와 노트북·스마트폰과 같이 인터넷 서비스를 받는 단말기가 필요하다.기술 인증과 표준을 정하는 이유는 뭘까. 통신 장비와 단말기의 호환을 위해서다. 표준이 없고 인증을 받지 않는 제품이 넘쳐 나면 서로 ... ...
- 2030년 전기로 달린다! 꼬마 전기자동차 붕붕~어린이과학동아 l201220
- 높지만 무게는 3분의 2밖에 안되거든요. 그래서 비행기나 배, 고속열차, 테니스 라켓, 노트북과 같이 다양한 물건을 만들기도 한답니다. 페트병을 재활용해 만든 의자환경을 생각해서 차 안에 있는 의자를 페트병으로 만들었어요. 버려진 페트병을 모아서 겉에 붙은 비닐을 떼고 깨끗하게 씻어요. 그 ... ...
- 옥수수의 무한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216
- 나오는 가스를 액체로 만들면 ‘바이오가스’로 쓸 수 있대. 옥수수로 만든 장난감이나 노트북이 있다면 믿을 수 있을까? 옥수수 전분으로는 이런 제품의 원료인 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지. 이 플라스틱은 스스로 분해되는 성질이 있어서 친환경 소재로 인기란다. 옥수수로 약도 만들 수 있어. ... ...
- 인천국제고 Sci-Fac 과학동아 동아리과학동아 l201212
- 많은 사람들이 강연 장소를 가득 메웠다. 그 많은 사람 중에도 교복을 깔끔하게 입고 노트북을 꺼내 열심히 강연 내용을 기록하는 멋진 학생들이 눈에 띄었다. 바로 인천국제고 Sci-Fac 과학동아 동아리 학생들이었다. 서울 세륜초 이길경 교사의 ‘반응속도 왕 뽑기’ 도입강연을 시작으로 연세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