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략
침범
유입
돌입
난입
내습
쇄도
뉴스
"
침입
"(으)로 총 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감염 막는 몸 속 방어 시스템 찾았다
2016.10.25
먼저 단핵구가 WRS를 분비한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인체 속에서 가장 빨리 병원균의
침입
을 막는 방어 시스템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진미림 대전대 한의예과 교수팀은 우리 몸에서 병을 일으키는 감염원을 없애는 초기 방어가 ‘트립토판-tRNA 합성효소(WRS)'에 의해 ... ...
집에 숨어 있던 거대 보아 뱀
2016.09.09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큰 주목을 받는 사진은 가정집에
침입
(?)한 뱀과 사람들의 사투를 보여주고 있다. 사람들은 뱀의 꼬리를 잡아당긴다. 천장에서 끌어내려고 안간힘을 다했다. 뱀도 버틴다. 천장이 무너지도록 강하게 버텼다. 결국은 다수가 힘을 합친 사람 쪽이 ... ...
으스스....얼굴 페인트칠 여도둑, 깜짝
2016.08.14
알렸다. 경찰은 용의자를 찾을 수 있었다. 24살의 여자였다. 이 용의자는 절도, 불법
침입
등의 혐의로 체포되었다. 얼굴에 페인트칠을 하고 남의 집을 들어간 여도둑의 영상은 곧 SNS 등을 통해 소개되면서 눈길을 끌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 ...
병든세포만 정밀 타격…신개념 암치료제 나온다
2016.08.09
주로 각종 단백질을 표면에 부착하는 식이었다. 인체 면역세포가 표면의 단백질을
침입
자로 인식하고 공격할 수 있어 치료효율이 떨어졌다. 연구진은 먼저 빛을 쪼이면 서로 달라붙는 특수 단백질을 ‘애기장대’라는 식물에서 추출했다. 이 단백질을 세포외소낭 내부에 넣은 다음, 치료용 ... ...
집으로 들어와 사람 공격한 곰
2016.08.09
팝뉴스 제공 공포 영화를 연상케 하는 ‘곰의 민가
침입
영상’이 화제다. 영화에서는 살인자나 괴물이 주인공의 집에 숨어들지만 영상에서는 곰이 그 역할을 대신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매머드레이크스에 거주하는 남성 로드니 긴은 지난주 퇴근해 집에 돌아와 곰을 발견했다. 집의 문이 열려 ... ...
[바둑과 처세술①] 치열한 경쟁 사회의 ‘생존 비법’, 바둑에서 배워라!
2016.08.08
건설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바둑에서는 싸움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침입
, 공격, 탈출, 포획과 같은 전쟁용어가 흔히 쓰인다. 바둑돌의 삶과 죽음에 관한 이야기도 많이 한다. 바둑판에서 벌어지는 전쟁을 보면 실제전쟁 못지않게 치열하다. 이 싸움에서 ‘대마(大馬)’가 죽는 일도 흔하게 ... ...
벽에 붙어 있는 초대형 거미 ‘포착’
2016.08.07
될 것 같다고 말하는 댓글이 해외 네티즌들의 공감을 많이 얻는다. 거미를 ‘가택
침입
’을 노리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집안의 사람들은 이 상황을 모를 것이다. 위기의 순간이 아닐 수 없다. 한편 사진 속 ‘거미’는 실제 거미가 아니라 모형이거나 장식물일 것이라고 지적하는 댓글도 적지 않다. ... ...
올림픽 때 ‘지카 바이러스’ 안심해도 될까?
2016.08.05
있는 항체는 ‘트로이 목마’처럼 지카 바이러스에 붙은 뒤 지카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
하는 것을 더 적극적으로 돕는다. 실제로 지난 20년간 브라질 뎅기열 발생 빈도는 꾸준히 증가했다. 남아메리카 대륙 뎅기열 환자의 70%가 브라질에서 발생한다. 에드바르드 마사드 브라질 상파울루대 교수는 ... ...
비밀번호를 자주 바꾸면 해킹으로부터 더 안전하다고요?
2016.08.04
때 혹시 다른 곳에서 접속 시도가 있었는지를 표시해 주어 본인이 아닌 외부인의
침입
시도가 의심될 때 바로 관리자에 알릴 수 있게 하는 등 시스템 차원에서 관리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권고합니다. 어떤가요? 공인인증서에 액티브X에 각종 보안 프로그램을 덕지덕지 깔게 하고 특수문자와 ... ...
면역세포에 로봇 태워 암 세포 공격한다
2016.07.26
종양의 중심부까지 로봇을 운반하면 마지막으로 약물을 전달한다. 대식세포는 이물질이
침입
했을 때 가장 먼저 반응하는 면역세포이기 때문에 치료효과가 더 높아지는 것도 장점이다. 박 교수는 “면역세포를 이용한 방식은 인체 거부반응이 없는 것이 장점”이라며 “향후 더욱 진보한 형태의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