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취
부식
감화
소량 가미
옮겨 붓기
주사
포화
뉴스
"
주입
"(으)로 총 1,424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산 코로나 백신 확보 핵심관문 '임상3상' 난관 넘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6.07
인도네시아로 눈을 돌리고 있다. 제넥신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유전자(DNA)를
주입
해 인체 내에서 표면항원 단백질을 생성한 뒤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DNA 백신(GX-19N)을 개발하고 있다. 제넥신은 이미 허가된 DNA 백신이 아직 없어 정부가 제시한 비교임상을 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 ...
류마티스 관절염 부위만 찾아 염증 줄이는 '약 주머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6
대식세포 표면 수용체와 잘 결합한다. 연구팀은 엑소좀을 정맥주사를 통해 생쥐에
주입
한 결과 엑소좀이 염증 부위에 집중적으로 축적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염증부위에 엑소좀이 축적된 생쥐의 경우 35일이 지난 후 관절염 수치가 1.5 정도였고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고 있는 대조군은 약 9 ... ...
약물 전달한 뒤 사르르 녹는 얼음 미세침
과학동아
l
2021.06.03
미세침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의공학’ 5월 3일자에 발표했다. 약물이 피부에
주입
되면서 미세침은 체온에 녹아 피부에 흡수된다. 연구팀은 물과 세포 등 생체물질을 미세침을 만드는 주형에 넣고 영하 196℃까지 온도를 내렸다. 이때 생체물질이 극저온에서 사멸하지 않도록 다이메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 시대에 꿈자리가 사나워진 이유
2021.06.01
꿈은 잠의 부가적인 기능 깨어있을 때는 주변과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해야 하므로 노이즈
주입
을 할 여유가 없다. 먹이나 천적을 앞에 두고 꿈 같은 상태로 행동한다면 굶어죽거나 잡아먹힐 것이다. 따라서 뇌가 오프라인 상태로 있을 때, 이를 테면 잠을 잘 때 노이즈를 만들어 경험하는 현상인 꿈을 ... ...
[르포]‘누리호’ 로켓엔진 만큼 복잡한 발사대 "집에 못가면서 개발했죠"
2021.06.01
훨씬 양이 많기 때문이다. 제2발사대의 지하에는 지하 3층에 걸쳐 연료와 산화제를
주입
하는 시설이 있다. 이 시설은 52개의 방으로 이뤄져 있고 연면적은 약 6000㎡에 이른다. 누리호가 발사되기 전 제2발사대는 ‘엄빌리칼’ 케이블 7개를 누리호에 연결한다. 엄빌리칼 케이블은 총 7개로 1, 2, 3단 ... ...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단 완전체 모습으로 처음 발사대에 섰다
2021.06.01
타워 구조물 형태로 만들었다. 제2발사대의 지하에는 지하 3층에 걸쳐 연료와 산화제를
주입
하는 시설이 있다. 이 시설은 52개의 방으로 이뤄져 있고 연면적은 약 6000㎡에 이른다. 이 시설은 누리호와 연결될 케이블 7개와 연계돼 있다. 연료용 케이블과 산화제용 케이블이 각각 1개씩이 1, 2, 3단 ... ...
한미사이언스-진원생명, mRNA 백신 생산기술 연구 추진
연합뉴스
l
2021.05.31
백신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단백질을 만들어내도록 재조합한 DNA를 인체에
주입
하는 식이다. mRNA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된 백신과는 다른 유형이다. 한미사이언스와 진원생명과학은 이번 협력이 10개 이상의 국내 기업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하고 있는 백신 자국화 프로젝트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이 제2의 폐가 될 수 있을까
2021.05.25
높았다. 또 일정 시간이 지나 산소분압이 떨어지면 용액을 빼내고 새 과불화탄소 용액을
주입
해 다시 올렸다. 이렇게 여러 차례 반복해도 특별한 부작용은 없었다. 혈액에도 상당량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안전한 물질이므로 예상한 결과다. 연구자들은 이 방법을 ‘항문을 통한 산소 액체 장호흡(l-EVA ... ...
말소리 잘 못듣는 난청 치료 길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5
TMEM43 유전자가 난청의 원인이라는 의미다. 연구팀은 TMEM43 돌연변이 유전자를
주입
한 생쥐 모델 실험에서 TMEM43 유전자가 난청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정상 쥐는 성장하면서 달팽이관 지지세포도 커지지만 돌연변이 쥐는 커지지 않았다. 분석 결과 TMEM43 유전자가 간극연접 ... ...
실명 환자들, 광유전학으로 시력 일부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5
등 단서가 많다”며 “이번 기술은 뇌에 장비를 넣을 필요가 없고 바이러스도 눈 안쪽에
주입
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광유전학은 동물에서는 행동을 조절하거나 자극을 조절하는 것이 검증됐다”며 “광유전학 분야에선 인간에게도 이를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 연구”라고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