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액체
용체
물
처리액
조제액
물약
용제
뉴스
"
용액
"(으)로 총 557건 검색되었습니다.
두둥! 그래핀 위에서 저절로 자라는 나노와이어 발견
2015.03.24
다양한 재료를 개발 중이다. 김관표 UNIST 자연과학부 교수팀은 그래핀과 금 입자를 산성
용액
안에 넣으면 그래핀의 원자구조 형태를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시안화금 나노와이어가 생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과학자들. 왼쪽부터 차례대로 박정원 미 ... ...
액체 상태의 나노물질 바로 ‘찰칵’
2015.03.24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 ACS Central Science 제공 또 연구팀은 전해질
용액
에서 이온의 활발한 정도를 나타내는 ‘이온강도’에 따라 나노막대의 이동 특성이 달라진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이온강도가 낮을 때 나노막대는 뭉치려고 하지않는 반면 이온강도가 높아지면 서로 뭉치려는 ... ...
수천 번 접었다 펴도 끄떡없는 태양전지
2015.03.17
직접 만나게 만들었기 때문에 전극을 투명하게 만들 필요가 없다. 또 인쇄하듯 유기물
용액
을 이용해서 찍어내는 방식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조길원 교수팀의 연구 성과가 표지 논문으로 실린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 - 포스텍 제공 연구진은 “이 기술을 이용하면 ... ...
드라마 ‘스샷’ 찍듯 단백질 반응 찍는다
2015.03.17
든 물방울을 빠르게 충돌시켜 둘이 합쳐진 융합 물방울을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산성
용액
을 만난 단백질에서는 말려있던 구조가 펼쳐지는 현상이 일어났다. 연구팀은 반응이 일어나는 도중 융합 물방울을 뜨겁게 달군 모세관으로 빨아들인 뒤 질량을 분석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융합 물방울이 ... ...
습한 곳에 가면 저절로 분리막 만들어져
2015.03.11
살짝 높은 정도다. 김 교수는 별 다른 공정 없이 고분자
용액
을 습한 공기에 노출시켜
용액
내 습기를 확산시키고, 고분자가 스스로 분리막을 형성한다는 의미에서 이 기법에 ‘습기확산자기조립법’이라 이름 붙였다. 이렇게 만든 3차원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의 기공 속에 전기전도성 물질을 ... ...
동물실험 대체할 바이오칩 개발 가능해졌다
2015.03.10
데 성공했다. 정전기의 영향을 받아 순간적으로 섬유형태로 방사된 고분자를 전해질
용액
위에 쌓은 것이다. 그 결과 기저막처럼 복잡한 형태를 가진 3차원 구조의 막을 쉽게 구현할 수 있었다. 김동성 교수팀의 연구결과가 소개된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1일자 속표지. - 어드밴스트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이젠 진짜 상용화
2015.02.10
만큼 넓게 펼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금형 판 사이로 물질
용액
을 주입해
용액
물질을 기판 위에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는 ‘슬롯다이코팅 공정’과, 휘어지는 플라스틱·금속 박막 형태의 롤에서 전자소자를 만드는 ‘롤투롤 공정’을 이용해 기존 연구용보다 400배 큰 40㎠의 ... ...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
과학동아
l
2015.01.30
넣으면, 쓴맛은 감소하고 단맛은 강해진다(그래프 참조). 반면 설탕만 들어있는
용액
에 소금을 넣으면 단맛에 큰 변화가 없다. 과학동아 제공 다시 말해 쓴맛과 단맛이 같이 있으면 짠맛이 단맛의 천적인 쓴맛을 억제해 단맛을 더 달게 해주는 것이다. 잊지 말아야할 것은 ‘적당한’ 양의 ... ...
간편요리 허니버터칩, 직접 만들어보니...
2015.01.30
용액
에 넣는다면 단맛에는 큰 변화가 없다. 하지만 설탕과 쓴맛을 내는 요소가 혼합된
용액
에 소금을 넣으면, 쓴맛은 감소하고 단맛이 강해진다. 적당량의 소금이 카페인, 염산키니네 등이 내는 쓴맛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단맛의 천적은 쓴맛인데 소금이 쓴맛을 잡아주니 단맛은 더욱 ... ...
[오보카타, 그후 1년] 파면으로 끝난 ‘과학계 신데렐라’
2015.01.30
중 맨 앞에 등장하는 논문 2편이 동시에 실렸다. 동물의 몸에서 떼어 낸 세포를 약산성
용액
에 잠깐 담그는 자극만으로 간단하게 만능세포를 만들 수 있다는 획기적인 내용이었다. 이름하여 ‘STAP(자극야기 다능성 획득) 세포’. 지난해 1월 30일 ‘STAP 세포’를 만들었다며 ‘네이처’에 논문을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