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비
손모
소각
소면
손상
고갈
카딩
뉴스
"
소모
"(으)로 총 83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서울 지하철 공조기 고장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1
프로그램으로 공사가 2015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공사 측은 “대형 고장의 원인이 되는
소모
부품을 최적기에 교체함으로써 유지관리 비용 감소와 지하철 환기설비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지하철 역사 내 쾌적한 공기질 유지를 통해 고객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로봇벌, 혼자 힘으로 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9
원초적 문제는 공기보다 무거운 물체가 비행하기 위해서는 크기에 관계없이 많은 에너지
소모
를 요한다는 것이다.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이런 문제는 악화됐다. 로봇을 날게 하는 전력 장치와 구동 장치도 가벼워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곤충 모사 로봇들은 외부에서 전력을 ... ...
탄소나노튜브 이용해 리튬 금속배터리 안정성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리튬 이온이 갇히는 현상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표면 부반응에 의해 리튬 이온이
소모
된 것이 아닌 다발 내구 구조에 갇혀서 반응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현상에서 착안해 리튬 금속 배터리의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리튬 이온을 탄소나노튜브 구조에 ... ...
비트코인, 매년 美 라스베이거스 수준 이산화탄소 배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운영하는지에 따라서도 분류했다. 대규모 채굴장의 경우 데이터센터 냉각을 위해 전력을
소모
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2018년 11월 기준 비트코인의 연간 전력 소비량을 46테라와트시(TWh)로 파악했다. 여기에 비트코인을 채굴한 IP 주소 데이터를 기반으로 채굴장의 위치를 파악했다. 그 ... ...
[프리미엄 리포트] 문외한을 위한 시스템반도체 총정리
과학동아
l
2019.06.08
연산하는 양이 많아질수록 CPU와 메모리 사이의 병목현상이 발생해 속도가 떨어지고 전력
소모
가 크다. 그런데 GPU는 방대한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병렬 처리 구조다(본디 게임에서 3D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개발됐다). 그래서 다양한 이미지를 통계 처리해 학습하는 딥러닝의 효율을 ... ...
“인간 지구력의 한계는 평상시 신진대사율 2.5배”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동안 RMR의 몇배에 달하는 에너지를
소모
하며 활동할 수 있지만 오래 지속하는 칼로리
소모
량은 한계를 갖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며 “신체 활동의 한계가 심장이나 폐, 근육보다는 음식물을 섭취하고 이를 칼로리로 이용하는 능력과 더 관련이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
뇌세포 닮은 저전력 광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말 그대로 소자를 이용해 뉴런의 동작과 연결망을 모사한다. 기존 컴퓨터보다는 전력
소모
량 대비 속도를 100배 개선했지만, 여전히 전자를 이용하는 소자로서 발열 문제는 일부 남아 있다. 박 교수팀은 아예 전자 대신 광자를 쓰는 새로운 개념의 뉴로모픽 소자를 개발했다. 먼저 빛의 세기에 따라 ... ...
전문연구요원제 존폐 '칼자루'는 국방부 쥐었는데 과학계는 '동상이몽'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학생의 비율은 11.1%에 그쳤다”며 “자연계 대학원은 텝스 준비에만 2~3년 시간을
소모
해 연구에 매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임상호 고려대 신소재공학부 교수도 “연구능력 수준이 비슷한 것으로 평가되는 서울대와 KAIST 석·박사 통합과정의 경쟁률이 4배 정도 차이가 난다”며 ... ...
[이강운의 곤충記] 꽃가루 알레르기를 막는 방법
2019.05.22
없으면 식물의 성장 가능성은 무한한데 곤충 애벌레가 끊임없이 먹어대며 에너지를
소모
시키며 식물 성장을 방해하여 그나마 균형 있는 생태계를 유지한다. 필자는 20여 년 간 애벌레 생활사를 연구하면서 참나무를 먹는 나방 애벌레만 487종, 버드나무를 먹는 애벌레는 185종을 확인했다. ... ...
스스로 학습하는 ‘AI 반도체’ 급성장… 완전히 다른 세상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구분돼 있고 이들 사이를 통신 네트워크가 연결한다. 이 과정에서 정보 전달에
소모
되는 에너지가 실제 연산에 사용되는 에너지보다 10배 이상 많다. 에너지가 줄줄 새는 것이다. 반면 뉴로모픽은 연산과 저장을 하나의 반도체에서 처리해 새는 에너지가 없다. 마치 뇌가 작은 발광다이오드(LED) 램프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