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ook
책
드럼
서적
Drum
하지
하계
뉴스
"
북
"(으)로 총 1,319건 검색되었습니다.
[별별이야기]크리스마스 혜성을 만나 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8.12.07
관찰할 수 있습니다. 11월 남반구 하늘에서 8등성의 밝기를 보인 이 혜성은 점차
북
반구 하늘로 이동해 에리다누스자리에서 황소자리 그리고 마차부자리로 이동합니다. 12월 중순에 최고 밝기인 3~4등급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12월 16일에 플레이아데스와 히아데스 사이를 지나갈 예정입니다. ... ...
40년 미제사건 푼 과학수사,과학계 미투운동…올해 최고 과학뉴스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크재르 덴마크 코펜하겐대 자연사박물관 지리유전학센터 교수 연구진은 그린란드
북
부의 빙하층에서 지름 1.5㎞ 규모의 소행성에 가까운 운석이 부딪혀 생긴 거대 충돌구를 확인했다고 지난 11월 14일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충돌구 지름은 약 31㎞로 프랑스의 수도인 파리 ... ...
한국 연구팀, ‘자원 천국’ 그린란드서 납-아연 묻힌 5곳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게재됐다. 담당 연구를 주도한 극지연 아민 베이란반드 연수연구원은 “그린란드
북
쪽 해안지역 일대는 유독 눈과 얼음이 덮여 있지 않은 곳이 많아 인공위성 조사로도 알 수 있는 정보가 많다”면서 “인공위성 분광분석 결과 새롭게 발견한 5개 지역 모두 납과 아연의 분포가 매우 높게 나타나 ... ...
적외선 우주망원경으로 새로운 별 생성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은하면 전체에 대한 파셴알파 관측 자료를 세계 최초로 얻는데 성공했다. 분석 결과
북
쪽 하늘에 위치한 세페우스 영역에서 기존에 알려진 전리수소 영역의 목록보다 약 1.5배 정도 많은 전리수소 영역 60여 개를 발견했다. 천문연은 향후 연구대상을 전체 은하면으로 확장해 은하 내 별 생성과 ... ...
초승달 아래 토성이 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7
유성우로 앵케 혜성과 관련이 깊다. 가디언은 남반구에서는 9~10일(현지 시간) 밤,
북
반구에서는 10~11일 밤에 가장 강한 유성우를 관측할 수 있다고 전했다. 황소자리는 어두운 밤 남쪽하늘에서 볼 수 있는 오리온자리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 ...
지구 건강에 모처럼 희소식…
북
반구 오존구멍 10년내 완전 복원
연합뉴스
l
2018.11.07
합의한 '몬트리올 의정서' 이행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과학자들은
북
반구에 이어 남반구의 오존층은 2050년대, 극지방 오존층은 2060년대 중에 완전히 회복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에릭 솔하임 유엔환경계획(UNEP) 사무총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몬트리올 의정서는 역사상 가장 ... ...
칭기즈칸의 조상들 3300년전 우유 마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그룹리더와 크리스티나 바린너 교수 팀은 알타이 산맥 동쪽의 스텝 기후 지역인 몽골
북
쪽 여섯 지역에서 2900~3300년 전의 청동기시대 인류 시료를 22개체 수집한 뒤 전장게놈상관성분석(GWAS)을 이용해 분석했다. GWAS는 주로 수십만~수백만 개에 걸쳐 개인마다 유전자의 일부 염기서열이 달라진 부위인 ... ...
"봉사설비 좋은 편인가요" 철도용어까지 갈라놓은 분단70년
동아사이언스
l
2018.11.05
연결을 위해 중요한 일”이라며 “남
북
철도 연결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고 새로운 남
북
경협시대에 원활한 소통과 협력에 보탬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미세먼지 해결, 위성·항공기 확보 중요하지만 진짜 전문가부터 길러야"
동아사이언스
l
2018.10.24
‘TEMPO’와 ‘센티넬-4’를 발사할 계획이어서 위성 3기가 모두 올라가면
북
반구의 미세먼지의 성분별 분포와 이동경로, 생성과정 등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다만 “일반인은 단기간에 뾰족한 해결책을 얻고 싶어 하지만 과학은 만능해결사나 정책결정자가 아니다”라며 ... ...
따뜻한 지구가 낳은 괴물 '슈퍼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20
슈퍼태풍의 위력이 줄었지만, 최근에는
북
위 36도까지 세력을 유지하는 추세예요.
북
위 33~38도에 있는 한국은 슈퍼태풍의 영향권에 들어서고 있는 거예요. 서울대 허창회 교수팀은 2100년이 되면 한반도를 지나는 태풍이 지금보다 4배 이상 많아질 거라는 예측을 했죠. 제주대 문일주 교수는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