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이러스
병독
세균
비루스
뉴스
"
병원체
"(으)로 총 524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들어간 원시 대식세포가 분화해 미세아교세포가 된다. 즉 미세아교세포는 뇌에 침투한
병원체
나 뇌세포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특화된, 대식세포의 친척인 셈이다. 뇌세포의 12%를 차지해 뉴런과 숫자가 비슷한 미세아교세포 역시 오랫동안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평소에는 가만히 ... ...
세균감염 막는 몸 속 방어 시스템 찾았다
2016.10.25
병원체
가 들어오면 다양한 면역세포가 이들을 물리친다. 그중에서도 백혈구가 가장 먼저
병원체
를 인식하고 공격하는 ‘선천면역반응’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진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앞서 선천면역반응보다도 먼저 작동하는 초기 방어 시스템을 밝혀냈다. 진 교수팀은 ... ...
유전자 진단 기술계의 ‘구글’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10.06
게 너무 어려웠다. 3만~ 4만 개인 사람의 유전자에는 달라붙지 않으면서 목표로 하는
병원체
의 유전자에만 달라붙는 정밀한 프라이머를 디자인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방법은 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만든 것으로, 프라이머 여럿을 후보군으로 제시하고 있다. ... ...
항암치료에 쓸 ‘백신 배달부’ 개발됐다
2016.07.20
치료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세병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병원체
를 면역세포로 전달하는 단백질 나노입자인 ‘인캡슐린(Encapsulin)’을 개발했다고 20일 발표했다. 연구진은 세균의 일종인 ‘서모토가 마리티나(Thermotoga maritina)’에서 분리한 단백질로 이 나노입자를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업적이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실제 적응면역의 실체, 즉 항체가 항원(
병원체
)에 대응하는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지면서 면역은 사실상 적응면역을 의미하게 됐다. 이런 관점은 지난세기 말까지도 계속됐고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 메치니코프는 1882년 ... ...
치사율 60% 패혈증, 우리 몸 속에 답 있었네
2016.07.05
반응을 일으키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치사율이 40~60%로 높다. 연구팀은 미생물과 같은
병원체
가 침입했을 때 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세포 속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되고, 이것이 신호가 돼 면역반응을 일으킨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손상된 미토콘드리아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으면 ... ...
신종 감염병 바이러스 한번에 100종 분석 기기 개발
2016.03.30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 칩을 이용해 마이크로RNA의 양적 변화를 살피면
병원체
의 약물 내성을 파악해 더 나은 약물을 개발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11일 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마이크로입자에 각각 다른 모양을 ... ...
[단독]후덥지근한 배양실에 숨이 턱턱… 사나운 ‘지카 모기’ 그물 뚫고 공격
동아일보
l
2016.03.25
아직 장기 계획으로 남아 있다. 모기를 들여오더라도 감염병매개체사육동은 아직 고위험
병원체
를 실험할 수 있는 생물안전 등급(BL3)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당장 전파력 실험을 시작할 수 없다. 인력도 문제다. 모기 등 곤충을 연구하는 ‘질병매개곤충과’에는 정규직 5명, 비정규직 12명이 전부다. ... ...
[Health&Brauty]융복합 연구에 투자… 감염병 극복·맞춤형 의료의 길 앞장
동아일보
l
2016.01.13
보건복지부로부터 각각 약 60억 원과 약 185억 원을 수주했다. 2014년에 고위험
병원체
를 확인하고 진단할 수 있는 생물안전 연구시설인 ‘BSL-3’ 실험실을 구축하기도 했다. 이 실험실은 질병관리본부 인증 절차도 마쳤다. 동물 실험용 생물안전 연구시설인 ‘ABSL-3’ 실험실을 완공할 계획이다. ... ...
보건당국, 건대 폐렴 원인으로 ‘방선균’ 추정
포커스뉴스
l
2015.12.08
추정하고 있지만 아직 확인작업이 필요하다”며 “현재로서는 확진이 아닌 추정 원인
병원체
중 하나로a규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보건당국은 방선균으로 추정되는 미생물을 미국으로 보내 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아직 최종 결과는 나오지 않은 상태다. 천병철 고려대 의대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