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칙
원리
원칙
규정
법
규범
이치
뉴스
"
법칙
"(으)로 총 52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덕분에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화학자는?
수학동아
l
2014.03.31
타일의 종류를 줄이기 위한 연구를 계속해야 했다. 1974년 로저 펜로즈는 일정한
법칙
에 따라 타일을 배열하면 규칙적인 패턴을 가지면서도 비주기적인 구조를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그 결과 1974년 영국의 수학자 로저 펜로즈는 2종류의 타일로 ... ...
[청년드림]“목표물 맞지 않아도 과감히 방아쇠 당겨라”
동아일보
l
2014.03.26
모든 인력을 혁신에 활용하는 것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한 예로 2002년 인텔이 ‘무어의
법칙
’(반도체 메모리의 성능이 18개월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법칙
) 한계에 부닥쳐 하락세를 면치 못할 때 인텔을 구한 건 인텔 이스라엘 연구소의 운전병 출신 전문가였다. 그는 모두가 반도체 칩의 집적도를 ... ...
태초에 우주는 급팽창했노라!
동아사이언스
l
2014.03.25
우주를 잉태할지도 모른다. 다중우주에서는 우주마다 밀도가 달라 운명이 다르고 물리
법칙
이 다르며 생명체의 존재 여부도 다르다. 우리는 우리 우주가 이런 탐구를 할 수 있는 생명체를 탄생시킬 정도로 미세 조정된 것(fine-tuning)에 감사해야 할 것 같다 ... ...
수학으로 보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4.03.14
등장하는 수학 개념들이 수체계와 소수의 성질, 공배수와 공약수, 그리고 곱셈의 교환
법칙
등 논리적인 순서에 맞게 단계적으로 잘 짜여져 있다. 그런데 앨리스를 이상한 수학 나라로 데리고 간 아저씨는 과연 누굴까? 책을 읽은 독자들은 “아하~! 이 사람이구나!”라고 말하게 될 바로 그 ... ...
역사와 함께 호흡한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02
우리가 살고 있는 은하로부터 거리에 비례하는 속도로 점점 멀어지고 있다는 ‘허블
법칙
’을 발견한 주인공이기 때문이다. 허블은 100인치 반사 망원경인 후커 망원경과 윌슨산 천문대의 60인치 망원경으로 우리 은하에서 안드로메다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성운이 독립된 외부 ... ...
연극과 미술에 '풍덩' 뛰어든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2.24
분 19초’였어요. 8분 19초는 태양빛이 지구에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죠. 우주의 물리
법칙
을 사람과 사람이 살아가는 사회에 적용하겠다는 생각으로 작업했습니다. 즉 별을 사람으로, 별빛을 마음으로 본 거에요. 별빛이 다른 별에 도착하는 시간이 거리에 따라 다른 것처럼 사람 마음이 타인에게 ... ...
코끼리보다 쥐 심장이 빠르게 뛰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4.02.18
쥐의 심장이 빠르게 뛰는 이유도 이 때문이란 것이다. 식물과 마찬가지로 동물 또한 이
법칙
에서 어긋나는 동물은 자연선택 과정에서 도태돼 사라졌다. 연구팀은 “동물과 식물 모두 대사량과 중량 사이에서 같은 비율을 보이는 것은 서로 다른 지점에서 출발했지만 결국 한 점에서 만난 ‘수렴 ... ...
창조경제 성공
법칙
, 정글에 있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6
되는 것이고, 적응하는 종은 생존한다는 냉험한 자연
법칙
을 설명했다. 이런 차가운
법칙
이 비단 자연 뿐만 아니라 인간사회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적응력이란 개인이나 사회의 성패를 좌우한다. 다른 사람이 성공했다고 해서 무작정 따라 했다가는 적응은 커녕 시한폭탄의 시계바늘을 ... ...
중력
법칙
을 위반한 군번줄 마술
과학동아
l
2014.02.06
순간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A의 뒤쪽이 컵 바닥을 친다(그림2). 그리고 작용반작용의
법칙
에 의해 컵도 A를 위로 민다. 그 힘으로 구슬들이 떠오르는 것이다. 또한 컵을 높이 들수록 군번줄은 더 높이 튀어오른다. 컵 밖에서 군번줄이 떨어지는 속도가 빨라지면 컵 안에 있는 구슬을 당기는 힘도 ... ...
과학의 역사는 천재가 아닌 대중이 만드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14.01.19
대중 과학서를 통해 위대한 과학자들이 번뜩이는 천재성으로 놀랄 많나 새로운 이론이나
법칙
등을 제시해 오늘날 과학기술 문명을 이룩해왔다고 알고 있다. 정말로 오랫동안 이어지던 무지와 혼돈이 소수의 천재적 인물들로 인해 깨지고, 과학지식으로 발달한다는 것이 사실일까. 이런 과학사의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