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초
국향
알
알맹이
알갱이
입자
알멩이
뉴스
"
난
"(으)로 총 1,29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얼굴을 가진 고양이 ‘화제와 논란
팝뉴스
l
2019.12.23
제공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화제가 된 위 사진의 제목은 “얼굴이 털이
난
소년”이다. 또 “고양이 얼굴을 가진 소년”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 제목을 읽고 보면 정말 고양이와 비슷한 사람 얼굴처럼 보인다. 그런데 정말 이런 사람이 정말 있기는 어렵다. 많은 네티즌들은 “사람 얼굴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첫 댓글에 동조하는 악플의 심리학
2019.12.14
두건을 써서 얼굴을 가리는 것만으로는 공격성이 폭발하지 않지만, 이미 잔뜩 화가
난
사람들과 함께 같은 두건을 쓰고 있을 때에는 집단적인 폭력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내가 온라인에 쓴 글 하나만을 가지고 나라는 사람 전체를 판단한다고 생각하면 억울한 마음이 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연구비 공황과 보통과학자의 위기
2019.12.12
마태효과에 의해 신참보다 훨씬 유리한 위치에 서게 된다. 그건 선배 과학자들이 더 뛰어
난
과학적 업적을 지녔기 때문이 아니라, 단지 신참보다 먼저 과학계에 자리를 잡았기 때문에 누리는 효과다. 이 마태효과는 다양한 방식으로 젊은 과학자들을 힘들게 만든다. 이미 안정된 실험실을 갖춘 선배 ... ...
[영상+] "이쪽으로 대피하세요" AI가 지하철 화재시 가장 안전한 대피로 알려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연기농도 정보를 토대로 위험을 평가하는 능력이다. 이어 소방관들이 자문해 준 불이
난
지역에 따른 안전도를 데이터화해 AI가 스스로 안전한 길을 찾도록 했다. 실제로 불이 나면 AI는 학습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대피로를 찾아 모니터와 천정에 설치된 130여 개의 레이저 표시기로 전달한다. ... ...
英과학자 "한국 한방
난
임치료 연구 '비과학적'" 논문심사 거부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지원 받고도 결국 명확한 근거를 찾지 못하고 성급한 결과를 내놨다고 보고 있다. 한방
난
임치료에 대한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려면 잘 설계된 연구를 통해 뚜렷한 데이터와 과학적인 근거를 얻고 국제 학계 공인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 ...
지구온
난
화로 죽어가는 산호초 살리는 물고기들
연합뉴스
l
2019.12.03
산호초에 비해 두 배에 달하는 물고기가 찾아와 머물렀으며, 생물 종(種)도 50%가량 늘어
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심슨 박사는 "건강한 산호초 주변에서는 물고기나 딱총새우가 내는 소리가 어우러져 상당히 시끄러우며, 어린 물고기들은 이런 소리를 듣고 서식지를 찾는다"면서 "산호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것이다. 실천윤리학자이자 동물해방론자인 미국 프린스턴대의 피터 싱어 교수는 지
난
2014년 ‘프로젝트신디케이트(유명 석학들이 중대 사안에 대해 기고하는 사이트)’에 발표한 글 ‘유전자변형 식품을 막아야 하는가’에서 “유전자변형 식품에 대한 일부 환경단체들의 맹목적인 반대는 ... ...
사람 얼굴을 가진 고양이 ‘화제와 논란
팝뉴스
l
2019.12.01
제공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화제가 된 위 사진의 제목은 “얼굴이 털이
난
소년”이다. 또 “고양이 얼굴을 가진 소년”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 제목을 읽고 보면 정말 고양이와 비슷한 사람 얼굴처럼 보인다. 그런데 정말 이런 사람이 정말 있기는 어렵다. 많은 네티즌들은 “사람 얼굴을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글루텐이 뇌 염증, ADHD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9
며 "이 때문에 밀가루 음식에 중독되고, 밀가루 음식을 끊어도 금단현상이 일어
난
다"는 주장이다. 글루텐을 소화시키는 과정에서 실제로 엑소루핀이라는 중독성 물질이 생성된다. 하지만 이 물질은 글루텐뿐만 아니라 콩이나 시금치, 유제품을 소화할 때도 생성된다. 엑소루빈 때문에 밀가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소리로 소음 잡는다…노이즈캔슬링 시대
2019.11.26
물을 먹기 위해 꼭지를 핥을 때 나는 소음(그래프의 검은 선)에 대해 노이즈캔슬링이 일어
난
연수의 등쪽 와우핵의 신경 발화 빈도(아래 빨간 선)가 배쪽 와우핵 신경 발화 빈도(위 파란 선)보다 훨씬 낮음을 알 수 있다. ‘네이처 신경과학’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kangsukki@gmail.com).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