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특유
특수
독특
특이
본래
타고남
뉴스
"
고유
"(으)로 총 96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
2019.12.26
질량이란 밀도와 부피를 곱한 것이다.” 이후 운동량(속도와 질량의 곱)과 관성물체
고유
의 저항하는 힘) 등을 계속 정의한다. 정의 다음에는 ‘공리, 즉 운동법칙’이 나온다. 우리에게 익숙한 세 개의 운동법칙이 차례로 등장한다. 제1법칙은 관성의 법칙으로,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 ...
1400년전 아라가야 지배자 무덤천장에 새긴 별자리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1
왕릉이다. 신라, 왜(倭)로 가는 길목에 있던 아라가야는 주변 강국들의 틈바구니에서
고유
문화를 지키며 수백 년 동안 생존했다. 5~6세기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1000기 크고 작은 무덤들은 해발 50m 구릉 능선을 따라 늘어서 있다. 일제강점기인 1917년 일본 학자가 조사를 시작한 이후 최근까지도 ... ...
인공위성 강국을 여는 24명의 엔지니어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발전시켜 정지궤도급 위성의 제품보증 기준을 마련한 공로가, 박종석 책임연구원은 국내
고유
의 정지궤도위성 플랫폼의 기계시스템 설계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공로가 각각 인정됐다. 기업 출신인 윤희광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책임연구원은 위성 전력계의 필수 전장품인 히터파이로펄스유닛(HP2U ... ...
'포니 프로젝트'는 진행형...국산 車 신화 새롭게 쓸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했다. 포니 프로젝트는 지금도 진행중이라고 한 것도 그런 뜻이 담겼다. 국내 첫
고유
모델 자동차 '포니' 개발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한국 자동차 산업의 기틀을 마련한 이충구 전 현대자동차 사장이 18일 서울 강남구 KAIST 도곡캠퍼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그는 자동차 전문가로서는 처음 ... ...
고분자 단백질 스스로 형성하는 ‘자기조립’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1
조립됐을 때 고온에서 구조 및 기능이 안정하게 유지됐다. 고온에서도 효소의
고유
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다양한 단백질 기반의 생촉매나 생체재료 합성에 필요한 화학적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송윤주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거대분자 ... ...
지구온난화로 죽어가는 산호초 살리는 물고기들
연합뉴스
l
2019.12.03
개체가 많이 늘어났다는 것은 이런 순환고리가 지역적 현상이 아니라 산호초 생태계의
고유
한 일부분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건강한 산호 소리로 산호초 복원 '시동' [엑시터대학 제공 동영상 화면 캡처] 영국 엑시터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해양생물학 교수 스티브 심슨 박사가 ... ...
'제주 헤리티지 과학상'에 감귤 이용해 바이오겔 대량생산 기술 연구한 과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전달했다고 2일 밝혔다. 제주 헤리티지 과학상은 올해 신설된 상으로 제주에서 지역
고유
자원의 유용성을 발굴하거나 활용기술을 개발해 제주의 가치를 증대한 과학자에게 수여된다. 최 실장은 감귤 가공산업에서 발생된 폐기물을 원료로 바이오겔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반 기술을 개발한 공로를 ... ...
손상된 근육세포 재생 돕는 인공근육 3D프린터로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7
기술이다. 바이오프린팅은 살아있는 세포가 포함된 생체적합 바이오잉크를 이용해
고유
한 해부학적 특징과 생리학적 기능을 가진 조직으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근육은 세포가 한 방향으로 배열된 근섬유 다발 형태로 구현된다. 이를 위해 실제 조직에서 세포가 자랄 수 있도록 둘러싼 ... ...
깡통 하나 못 띄우던 한국 '위성 개발 강국' 만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다시 6년 뒤인 1999년에는 드디어 설계부터 모든 과정을 독자적으로 개발한 세계적 성능의
고유
위성인 우리별 3호를 완성했다. 5명의 연구자가 빈손으로 영국에 간지 10년 만의 성과였다. 이후 연구소는 6기의 소형 위성을 더 개발하면서 한국 위성 개발의 한 축을 담당해 왔다. 지금도 국내 ... ...
[주말N수학] 수학자의 상상력에서 탄생한 터미네이터
수학동아
l
2019.11.02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190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자기를 복제하는 것은 생물의
고유
한 능력으로, 기계가 절대 흉내낼 수 없는 일로 여겨졌다. 이런 선입견을 깨고 처음으로 자기 복제 로봇을 논리적으로 증명한 사람이 바로 컴퓨터의 아버지, 미국의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이다. 노이만은 연구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