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고려대학교
고려대
고려대학
오래됨
상고
절벽
뉴스
"
고대
"(으)로 총 1,000건 검색되었습니다.
손 대신 지느러미 택했지만...자연은 손가락뼈 유지한 수중동물 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중 한 종은 손가락이 7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약 4000만년 전부터 3400만년 전까지 살았던
고대
고래의 한 종류인 바실로사우르스는 지느러미 속 뼈가 모두 합쳐져 아예 펭귄 지느러미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조류인 펭귄은 조상이 손을 날개로 이미 진화시킨 터라 손가락이 남아 있지 않다. ... ...
[프리미엄 리포트] 마스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
2020.08.08
특성을 분석하는 등 간접적인 방법을 써야 한다. 특히 퍼시비어런스는 화성에서
고대
생명체의 자취가 남아있을 법한 토양을 발견하면 이를 채취해 시료 보관함 ‘캐시(Cache)’에 담아 보관해야 하는 중대한 임무를 맡았다. 안타깝지만 아직 현재 과학기술로는 로버가 지구로 보낸 데이터를 ... ...
"피라미드는 외계인 작품" 일론 머스크 또 '갑툭튀' 트윗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1시 17분 머스크 CEO는 “람세스 2세가 그 외계인”이라는 답글을 달았다. 람세스 2세는
고대
이집트 제19왕조의 제3대 왕으로 그의 왕위 동안 이집트는 리비아, 누비아, 팔레스타인까지 세력을 확장해 번영했다. 이날 오후 11시 54분 머스크 CEO는 트위터에 답글을 하나 더 달며 피라미드를 설명하는 ... ...
코로나19 확산세 한창인데 바이러스 이름 바꾼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7.31
않은데 굳이 따를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ICTV의 위원장인 앤드루 데이비슨 영국 글래스
고대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이 안은 2년 가까이 논의됐고 공유됐다”며 “하지만 적절치 않은 시기라는 점에는 공감하며 10월 회의 때 폭넓게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코로나19를 일으키는 ... ...
미 화성탐사선 '퍼시비어런스'도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7.30
1025kg다. 선명한 유색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카메라 등 총 23대의 카메라가 장착됐다.
고대
호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제제로 분화구에 부드럽게 내려앉는 데 성공하면 화성에서의 1년에 해당하는 687일 동안 분화구 주변의 토양을 수집한다. 예정대로라면 분화구 부근 5∼20km를 이동하며 드릴을 ... ...
코로나19 바이러스, 박쥐 몸 속에서 40~70년 전 생겨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7.29
보니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 생물학 교수와 데이비드 로버트슨 스코틀랜드 글래스
고대
바이러스연구소 교수 공동연구팀은 코로나19를 일으킨 바이러스의 게놈을 분석해 진화 이력을 추적한 결과를 이달 2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미생물학’에 발표했다. 코로나19를 일으키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연주시차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움직인다는 결정적인 증거이다. 연주시차는 그 옛날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태양중심설을 제기했을 때부터 그 반대자들이 내세웠던 논리였다. 당시의 관측능력으로는 연주시차를 측정할 수 없었다. 사정은 천 년이 훨씬 지난 17세기의 갈릴레오 때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스트레스 저항 유전자들이 도입된 것이다. 3500년 전 이집트 사람들이 먹었던 수박
고대
이집트 벽화에는 수박이 등장해 인류가 늦어도 4000년 전에는 수박을 작물화해 과일로 먹었음을 시사한다. 실제 3500년 전 미라를 깔던 수박 잎의 게놈을 분석한 결과 오늘날 수박과 비슷한 맛과 색을 지녔다는 ... ...
[주말N수학]'내사랑 철인3종 경기' 남다른 취미생활에 푹빠진 수학자들
2020.07.18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음악과 수학은 이미 여러 면에서 많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 수학자 피타고라스는 기원전부터 이미 현악기의 음의 옥타브가 올라가고 듣기 좋은 화음이 생겨나는 것이 현의 길이의 비가 유리수일 때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이는 ‘모든 자연은 수로 이뤄져 ... ...
15kg의 거대 새가 어떻게 날갯짓 없이 170km를 비행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7.14
타고 비행한다. 셰퍼드 교수는 “안데스 콘도르는 아주 효율적인 비행을 한다”며 “
고대
에 존재했던 거대 새들도 이런 방식을 통해 비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