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목
주시
뉴스
"
각광
"(으)로 총 545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핀 한 번에 코팅하는 법
과학동아
l
2014.06.10
특징을 갖고 있어 ‘꿈의 소재로’로 불린다. 하지만 이 그래핀을 최근
각광
받는 웨어러블 기기나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는 어려웠다. 자유롭게 휘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유연기판에 그래핀을 코팅하기 위해선 열처리가 필수적인데, 기존의 열처리 방법으로는 기판이 녹아버리는 ... ...
시냅스 3차원 초정밀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2014.06.01
특정 세포에만 작용하거나 만들어지는 단백질들을 일컫는다. 프로테옴이
각광
받게 된 이유는 인간게놈프로젝트의 한계에서 찾을 수 있다. 인간의 모든 유전체 염기서열이 다 해석됐다고 해도 이것만 가지고는 단백질 기능을 명확하게 알아내긴 어렵기 때문이다. 즉 세포 내에서 단백질이 ... ...
‘도깨비 방망이’ 3D 프린팅 예술의 미래는?
동아일보
l
2014.05.27
열린 것이다. 휴대전화처럼 세상에 획기적 변화를 가져올 도구로 3차원(3D)프린터가
각광
받고 있다. 컴퓨터 설계 프로그램을 입력하면 플라스틱, 액체, 파우더, 금속 등 다양한 재료를 가공해 도깨비 방망이처럼 3차원 입체물을 제조하는 장비다. 서울 종로구 율곡로 사비나미술관에서 열리는 ‘3D ... ...
D램, F램은 알겠는데, Re램?
과학동아
l
2014.05.25
왼쪽)와 서형탁 아주대 교수(오른쪽) - 한양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메모리로
각광
받는 저항변화 메모리(Re램) 개발에 그래핀을 적용하고 저항변화 원리까지 규명했다. 전형탁 한양대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서형탁 아주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 ...
이건희 회장이 받은 저체온요법 뭘까
과학동아
l
2014.05.12
효과가 밝혀지면서 심정지가 발생하면 5단계로 연결된 ‘생존의 고리’라는 공식이 최근
각광
받고 있다. 먼저 ▲심장이 정지된 환자를 빨리 알아채고 도움을 요청한 다음 ▲인공호흡과 가슴압박을 통해 응급처치를 실시하고 ▲병원에 옮긴 환자를 전문 의료진이 제세동을 실시하고 ▲이후 전문적인 ... ...
디젤 차량 늘면 엉뚱한 사람 죽을 확률 높아진다고?
동아일보
l
2014.04.30
교수는 온실가스의 원인이 되는 오염물질을 덜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1970년대부터
각광
받고 있는 디젤 엔진이 영국에서 매년 7000여 명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원인일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현재 영국에 등록된 차량 중 절반 이상이 디젤 엔진 장착 차량이라고 한다. 디젤 차량에는 세금 혜택이 ... ...
‘누드’ 노트북에 쓰일 ‘누드’ 메모리소자 탄생
과학동아
l
2014.04.23
점차 유연하고 투명한 메모리소자를 원하는 추세”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현재
각광
받고 있는 그래핀의 우수한 전기적·광학적 특성을 활용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9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ITO/RGO ... ...
커피숍 들어서면 저절로 휴대전화 충전
과학동아
l
2014.04.18
MIT) 마린 솔랴치치 교수팀이 2.1m 거리에서 60W의 전력을 전송하는 데 성공하면서
각광
받기 시작했다. 솔랴치치 교수는 입력코일과 부하코일을 이용해 송·수신 코일의 증폭을 2000배 가까이 극대화시키는 ‘자기결합 공진방식(CMRS)’을 이용해 원거리 전송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 기술은 무리하게 ... ...
거실 유리로 TV 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4.14
최경철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투명 반도체 트랜지스터 소자로
각광
받는 비정질 금속-산화물 반도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신소재분야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스’ 3월 1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비정질 금속-산화물 반도체는 전자가 ... ...
차세대 메모리 소자 '얇게 더 얇게'
과학동아
l
2014.04.08
합성한 바륨 티타네이트 나노입자. - 고려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메모리 소자로
각광
받는 ‘바륨 티타네이트’를 간단한 방법으로 얇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조진한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팀은 바륨 티타네이트 나노입자를 이용해 기존보다 수십 배 얇은 박막을 만드는 데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