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자"(으)로 총 1,598건 검색되었습니다.
- D-한 달, 나는 이렇게 준비했다과학동아 l2011년 10호
- 글 강민아(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1학년, 휘경여고 졸), 위영진(서울대 의예과 1학년, 개포고 졸), 이지윤(서울대 공학계열 1학년, 마산 내서여고 졸), 임현홍(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1학년, ... 소홀해 지는 경향이 있다. 매우 위험하다. 기존에 점수가 잘 나오던 영역도 꾸준히 공부하자 ... ...
- [Math Tour] 피사의 사탑 기울기를 재다수학동아 l2011년 10호
- 각을 재려면 어느 쪽에서 각도기를 대야 할까?이쑤시개가 동쪽으로 10°기울었다고 하자. 그러면 남쪽이나 북쪽으로 기울어진 각도는 0°다. 이와 같이 공간에서는 방향에 따라 기울어진 정도가 다르다. 그러니 이쑤시개가 얼마나 기울었는지 알려면 먼저 기울어진 방향을 찾아야 한다. 여기서 수학의 ... ...
- 꿈을 현실로 만들어 보자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넣었어요.” “자율형 사립고도 지원자격에 학교내신성적 50%이내라는 항목이 있어. 말하자면 특목고라고도 할 수 있지. 우수한 학생들이 많아서 1등급을 받기가 쉽지는 않을 거야. 1등급이면 4%를 말하는 거야. 하지만 의학을 생각한다면 무조건 100점을 생각하고 살아야해.” L학생은 큰 시험에서 ... ...
- 한 직선 위의 세 점 II과학동아 l2011년 10호
- ※ ‘수학 사고력 넓히기’는 수학영재를 위한 실력 향상 코너입니다. 기하, 대수를 비롯한 수학의 다양한 영역에서 재미있는 개념설명과 흥미로운 문제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 호에서는 다양한 공선점 증명 기출문제들을 유형별로 살펴보고, 또 다른 증명 방법들을 알아보도록 하자 ... ...
- [Culture Math] 분수 셈으로 만든 나만의 단소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으로 나눠(分), 빼거나(損) 더한다(益)는 얘기다.간단한 예로 전체 길이가 1인 관이 있다고 하자. 1을 3으로 똑같이 나눈 다음, 그중 하나를 빼면 2/3가 된다. 1/3을 빼면 원래 음보다 5음 높은 음이 된다. 반대로 길이가 1인 관에 그 관의 1/3을 더해 길이가 4/3가 되면 원래 음보다 4음 낮은 음이 된다. 분수 ... ...
- PART 1. 공진은 무서워?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발을 구를 때만 생겼다.공진의 원리는 간단하다. 실에 매달린 추가 앞뒤로 움직인다고 하자. 움직이는 방향으로 조금씩 밀어만 줘도 추가 진동하는 폭은 점점 커진다. 작은 진동이라도 같은 주기와 위상으로 계속 겹치면 에너지가 증폭돼 큰 진동이 되고 흔들림은 심해진다. 건물 상층부가 ...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높아지는 게 아닙니다.”빔의 출력(에너지)이 높아진 거냐고 넌지시 ‘아는 척’을 하자 김경진 팀장이 정정했다. 성능향상을 일종의 ‘스펙 업그레이드’ 정도로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다. 방사광의 질 자체가 달라졌다는 것이다.“가장 큰 변화는 3세대 방사광인 ‘삽입장치(ID)빔’을 쓸 수 있는 ... ...
- 무한도전팀도 몰랐던 조정의 수학수학동아 l2011년 09호
- 단위는 생략한다.M = sF+(s+x)(-F)+(s+2x)F+(s+3x)(-F) = -2xF < 0이때 s와 x, F가 모두 1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M은 -2가 된다. 이것은 노를 저을 때마다 2만큼의 힘이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작용해 배가 왔다갔다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배의 이동거리가 더 길어진다. 그럼 배가 왔다갔다 하지 않도록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과학동아 l2011년 09호
- 쪽으로 약 2km 치우쳐 있다. 왜 이런 걸까. 최근에 발표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알아보기로 하자.이제는 상식이 됐듯이 달의 자전 주기는 공전 주기와 같다. 따라서 지구에서는 항상 달의 한쪽 면만 볼 수 있으며, 이를 달의 앞면이라고 부른다. 달의 뒷면은 아폴로 프로젝트로 세상에 처음 알려졌다. 그 ... ...
- 감성을 읽는 수학의 눈수학동아 l2011년 09호
- 분류하기 쉽다.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와 ○가 그림3처럼 xy평면에 놓여 있다고가정하자. 이들을 둘로 나누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➍와 ➎처럼 직선으로 구분하면 전체 10개 중 2개 정도는 잘못 분류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하지만 ➏과 같은 곡선을 이용해 분류하면 정확하게 나눌 수 있다. 여기에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