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능한 한
최선
최대량
d라이브러리
"
최대한
"(으)로 총 1,663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시범을 보이며 설명했어요.“맞아요. 우리 연구실에서는 드론이 비행할 때 이 상자가
최대한
흔들리지 않도록 조종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드론이 방향을 바꿀 때마다 상자가 이리저리 흔들려서 안에 들어 있는 물건이 망가지면 곤란하거든요.”연구실 바닥에는 출발지와 목적지가 표시돼 ... ...
Part 3. 사람의 건강을 위협하는 빛 공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성장호르몬이 잘 나오지 않을 수 있답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잠들기 2~3시간 전에는
최대한
인공조명을 쬐지 않아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낮처럼 밝은 밤? 빛 공해를 막아라!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Part 2.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빛 ... ...
[특별 인터뷰] 지구사랑 탐사대, 탐사 내공으로 연구도 척척!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등을 비교했어요. 연구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요?실험 조건을 만들고 오차를
최대한
줄이는 것이에요. 방충 효과와 향균력 실험은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나무, 3% 소금물에 2분 동안 삶거나 10분 동안 넣은 나무 등 3가지 조건으로 여러 번 실험했답니다. 어떤 결과가 나왔나요?모든 ... ...
Part 4. 모래, 다양한 생물의 보금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염분이 많고 양분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살 수 있도록 진화했어요. 잔뿌리를 많이 내어
최대한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고, 잎을 가늘고 두껍게 만들어 물의 증발을 막지요.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과거 해안사구도 무분별한 모래 채취로 인해 피해를 입었어요. 해안사구의 모래는 90% 이상이 석영으로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 산림생물 바로알기 탐험대’가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없지요. 그래서 어린 나무들은 살아남기 위해 스스로 성장을 멈춘답니다. 에너지를
최대한
아끼기 위해서 성장에는 에너지를 쓰지 않는 거예요. 이 과정을 ‘전생치수’라고 한답니다.” 참가한 친구들은 선생님의 말씀을 잘 듣고 중요한 부분들을 받아 적었어요. 코스 곳곳에 놓여 있는 퀴즈 ... ...
[스미스의 탐구생활 7화] 비행기 엔진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모형에서는 안전을 위해 폭발이 일어나지 않아요. 그 대신 나머지 부품들은 실제와
최대한
비슷하게 재현했지요. 연소부의 핵심 부품은 터빈이에요. 폭발이 일어나면 온도가 올라가며 공기가 순간적으로 팽창하는데, 이때 터빈이 팽창한 공기를 주변으로 퍼뜨리지요. 이 공기는 마지막으로 ...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역할을 하는 이로운 종이란다. 하늘소가 늘면 오색딱따구리도 늘어난다?!곤충은
최대한
많은 알을 낳고 가장 뛰어난 자손이 살아남게 하는 방법으로 번식해요. 그래서 먹이가 풍부해지거나 기온이 높아지는 등 주변 환경이 조금만 좋아져도 곤충의 수는 급격히 늘어나요. 최근에는 농촌 지역을 ... ...
Part 3. [고리 1호기] 해체까지 남은 숙제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많은 기술이 필요한 거랍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해체기술연구부 서범경 부장은 “
최대한
빠르고 안전하게 원자력 발전소를 해체할 수 있도록 가장 중요한 원자로 내부의 제염 기술과 원격 절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어요.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로봇 팔과 레이저 절단 기술이에요 ... ...
Part 2. 얕보면 큰코다친다! 센 종이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자외선과 반응해 종이를 누렇게 만드는 골칫덩어리랍니다. 그래서 종이를 만들 땐
최대한
제거하려고 노력하는 물질이기도 하지요.그런데 성균관대학교 남재도 교수팀이 골칫덩이 리그닌으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연구팀은 리그닌을 특정한 화학물질과 반응시켰어요. 그러자 원래 ...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파충류였기 때문에 스스로 열을 내거나 내릴 수 없었어요. 햇빛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열을 빠르게 받아야 신진대사가이뤄지지요. 따라서 체온을 올려야 할 땐 골판을 잘 펼쳐서 햇빛을 쬐었을 것으로 보고 있어요.반대로 열을 내릴 땐 골판에 혈액을 흘려보냈어요. 그럼 혈액은 외부 공기에 닿아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