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표
율
근지수
seng
d라이브러리
"
지수
"(으)로 총 699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1. 물 한 잔 갖고 짜게 군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충분할지 더 정확하게 추정하려면 기후 변화부터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는 얘기다.물빈곤
지수
가 그리 낮지 않다 해도 가뭄에 대한 대비는 반드시 필요하다. 물이 언제 얼마나 와서 어디로 가는지 이해하고, 수자원 시설을 효율적으로 개발, 이용하는 기술은 기본이다. 레스토랑에서 ‘그냥 주는’ 물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제곱해서 정방정식을 만든 다음 본래의 방정식에 맞는 근을 찾는다대수방정식에 대해
지수
방정식 · 로그방정식 · 삼각방정식 등을 초월방정식이라고 한다방정식의 이론적 연구를 하는 진보된 분야에서는 계수가 복소수 · 실수인 방정식을 간단히 대수방정식이라는 것이 일반적이다집합 M이 군(群 ... ...
특집1. 당은 비만의 주범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항목과 비만도의 관계식을 산출했다. 비만도는 체질량
지수
(BMI)를 이용했다. 체질량
지수
는 체중(kg)을 신장(cm)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25가 넘으면 과체중, 30이 넘으면 비만으로 본다.그 결과 미국인이나 한국인, 어린이나 성인 모두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총열량 섭취량으로 ... ...
5. 나랏말씀이 두뇌에 좋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오스트리아 빈 의대가 세계 50개국 국민들의 평균 지능
지수
(IQ)를 비교한 결과 한국이 홍콩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고 발표한 적이 있는데, 이 때 상위권 국민은 계산 능력이 뛰어났다. 이런 결과 역시 한국어의 수 개념 표현 방법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베트남 국민은 ... ...
대박의 숨은 손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손’이 움직인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돈을 움직이는 숨은 손은 무엇일까. 코스피(KOSPI)
지수
가 1200을 넘어서면서 많은 사람들이 대박을 꿈꾸고 있다. 여기 수학과 물리학, 공학과 자연과학이 돈이 흘러가는 법칙을 캐겠다고 나섰다. 과학이 안내하는 대박의 바다로 풍덩 빠져 보자. ▼관련기사를 ... ...
1. 과학은 주가도 춤추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일까지 일어나지 않으리란 법이 없다.지난달 대우증권은 “내년 4분기에는 코스피
지수
가 1550까지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예측이 맞을지는 오직 시간만이 답을 줄 것이다. 그러나 그 전에 이미 금융공학은 특유의 ‘기술력’으로 고객을 사로잡을 히트상품 개발에 나설 것이다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표준 기초대사량과 비교했을 때 개체 기초대사량이 보이는 편차(偏差)를 표시하는
지수
(指數) 기초대사량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 대사량이며 성과 연령이 동일한 건강인의 기초대사량은 체표면적(體表面積)에 비례한다 동차좌표(同次座標)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평면 ... ...
4. 과학자가 증권가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공계 출신의 채용을 늘리는 것은 이처럼 복잡한 파생상품 때문이다. 앞서 언급한 주가
지수
연동예금은 비교적 단순한 파생상품의 결합이다. 실제 금융공학을 응용해서 투자상품의 미래가치를 구하는 과정에는 기체의 움직임을 연구한 브라운법칙과 열역학법칙, 심지어는 인체의 신경계를 응용한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간 침구나 간이침대를 발견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지능
지수
(IQ)는 평균 145다. 17:1의 높은 경쟁을 뚫고 선발된 학생들이라 문 교장은 “갑자기 성적이 떨어지면 교사가 가르치는 것이 학생에게 맞지 않는지 생각해 본다”고 말했다. 학습지도와 함께 인성교육도 병행해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택한다 공간에서 결정면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의 하나 면
지수
라고도 하며 보통 밀러
지수
로 표시한다 결정면은 결정축을 잘라내는 비율로 표시한다 물리학적 방법으로 결정의 물리적 성질 · 원자적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 X선에 의한 결정구조해석의 발견 이후로 현저하게 발전했다 암장이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