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외부"(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수십μm 바늘로 고해상도 신호 처리뇌파를 추출한 뒤 이를 통해 로봇 의수나 컴퓨터 등 외부 기계를 제어하는 기술을 ‘뇌-기계 접속(BMI·Brain Machine Interface)’이라고 한다. 미국 브라운대 연구팀은 2012년 바늘 96개로 구성된 신경전극을 사지마비 환자의 뇌에 심은 뒤 이를 로봇 의수와 연결해 커피를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굴절률 등이 있다. 전자기파의 위상속도 cEMM는 c2EMM= 1/(εμ) 라는 식으로 나타낸다. ε는 외부에서 전기장을 가했을 때 전하가 얼마나 편극되는지를 나타내는 유전율(permittivity)을, μ는 어떤 매질이 주어진 자기장에 대해 얼마나 자화하는지를 나타내는 투자율(permeability)을 나타낸다. 전자기파의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빅뱅의 산물, 수소와 헬륨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제안했습니다. 그리고 1929년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이 우리 은하 바깥에 있는 외부 은하들이 모두 우리에게서 멀어지는 현상을 발견하면서 우주 팽창은 사실로 증명됐습니다.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거꾸로 생각하면 과거의 우주는 현재보다 더 작았다는 뜻입니다. 계속 거슬러 올라가면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김치와 태권도를 사랑한 개럿 레이즈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귀환 도중 공중폭발한 사고로 한동안 미국 우주인의 우주 비행이 중단되는 등 외부적인 이유가 컸다. 기다리는 우주인 입장에서는 꽤 길고 힘든 시간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개럿은 “10년 동안 많이 배우고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었다”며 특유의 긍정의 힘을 보여줬다. “첫 비행을 하지도 않았는데,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낮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초음파 지문인식 센서는 초음파를 만드는 전극 유전체와 외부 힘에 따라 전기적 변화를 일으키는 압전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압전소자는 알루미늄이나 금과 같은 금속을 사용해 투명하게 제작하기 어렵다. 결국 초음파 지문인식 센서는 우리가 보는 화면의 반대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원인을 제공했으리라고 자연스럽게 생각하죠. 그러나 자연의 법칙은 우주의 양성자처럼 외부 도움 없이 혼자 튀어나와 존재할 수 있고, 에너지 측면에서도 아무것도 필요로 하지 않을 뿐 아니라, 빅뱅의 원인 그 자체도 없을 수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시간 자체가 그 순간 시작됐기 때문이죠. ... ...
-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비교적 잘 보존되므로, 이론상으로는 20대에 난자를 채취해 얼려두면 폐경이 된 60대에도 외부에서 호르몬을 투여하면 임신이 가능하다. 20대의 ‘신선한’ 난자를 미래를 위해 냉동할 수 있다니. 혹할만한 제안이다. 공상과학(SF)소설에서나 볼 법한 일들이 앞으로 일상이 될까. 냉동 난자 기술의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죽음의 최후 목격자, 파리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현장 온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체가 발견된 곳에 이동용 기상장비를 설치했다. 구더기는 외부 온도에 따라 성장 속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시체가 놓여 있던 과거의 현장 온도를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수사팀은 이를 위해서 약 사흘 동안 현장 온도를 측정하고, 같은 기간 현장과 가장 가까운 위치의 ...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분야가 처음 등장했다. DGIST는 2014년 국내 최초로 ‘고신뢰CPS연구센터’를 개설하고 외부의 악의적 공격이나 내부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자율 복원할 수 있는 기술을 서울대, 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과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다.박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무인열차의 취약점을 보완할 ...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장소다. 야생동물을 발견하더라도 100m 이상 반드시 떨어져 있어야 하고 먹이를 주거나 외부 생물을 데려오는 것이 엄격하게 금지돼 있어 생태계가 잘 보존된 곳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동물원이나 아쿠아리움과 같이 생물을 가둬둔 시설에서만 야생동물을 만날 수 있다. 최근 이런 시설이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