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콤달콤 연구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4호
- ▼이어지는 기사를 내려면? Intro. 수콤달콤 연구소Part1. [그림으로 보는 수학] 크리스마스에 가장 갖고 싶은 건?Part2. 수콤달콤 크리스마스 반짝매장Part3. [수콤달콤 연구원의 비밀노트] 이런 그래프, 저런 그래프 쓰임이 달라요!Part4. [놀이북] 크리스마스 선물은 뭘까? 돌려 돌려 돌림판 ...
- [수콤달콤 연구원의 비밀노트] 이런 그래프, 저런 그래프 쓰임이 달라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4호
- 그림그래프, 막대그래프, 꺾은선그래프, 띠그래프, 원그래프 등 다양한 그래프를 살펴봤어요. 그런데 그래프로 나타낼 자료가 무엇인지에 따라 그래프의 종류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자료를 표현하기에 적절한 그래프를 찾는 법을 소개할게요. ...
- [특집] 2000년 전부터 열심히 그리는 중! 별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좌표를 기록하던 별 지도가 발견됐습니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의 빅토르 지셈버그 연구원은 인류 최초의 별 지도를 복원해 10월 18일 발표했지요. 2000년 전 하늘을 바라보고 별지도를 그리던 조상들과 같이 현대 인류 역시 우주 망원경을 띄워 별 지도를 그리고 있습니다. 2000년 역사를 관통해 ... ...
- [특집] 한반도에도 있다! 우리나라 별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갖추고 천문학을 발전시켜왔다는 걸 알 수 있죠. ●인터뷰 양홍진(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 센터장)과거 천문 기록을 갖고 있는 건 아주 큰 망원경을 갖고 있는 것과 비슷해요. Q우리나라 천문학은 어떤 위상을 지니고 있었나요?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조선 때 만들어졌지만, 문헌 ... ...
- [기획] 발자국에서 단서를 찾아라! 발자국 분석법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어떻게 분석할까? 고생물학자는 어떻게 화석에서 생물의 정보를 알아낼까요? 국립문화재연구원 임종덕 박사는 “현장에 도착하면 한 마리가 걸어간 길인 ‘보행렬’을 가장 먼저 찾는다”며, “보행렬이 없으면 얻을 수 있는 정보가 매우 한정적이기 때문”이라고 했어요. 보행렬을 발견한 후엔 ... ...
- [광고]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자 봉지를 만드는 곳에 다녀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뒤 알갱이로 쪼개 다시 페트칩으로 만들 수 있거든요. 친환경 PET 프로젝트 이수현 책임연구원은 페트병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한 뒤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은 페트칩만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분리배출을 잘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답니다.가공실 외에도 운동장과 체육관 등 롯데케미칼 ... ...
- [특집] 최초로 별을 기록한 천문학자 히파르코스는 누구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지셈버그(프랑스 국립과학연구원-프랑스 소르본대학교 레옹 로빈 고대 사상 연구센터 연구원) Q 평소에 어떤 연구를 하시나요?주로 고대의 과학 및 철학 문서를 분석해서 학자와 일반인이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어요. 특히 고대 문명들이 문화적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는 ... ...
- [과학 뉴스] 대왕고래는 매일 미세 플라스틱 1000만 개 먹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주요 먹이인 크릴에 축적되어 있는 미세 플라스틱을 섭취하는 경우가 99% 이상이었어요. 연구원들은 “크릴을 먹이로 하는 멸치나 정어리도 미세 플라스틱을 매일 섭취하고 있을 것”이라며, “멸치와 정어리를 먹는 인간의 몸에도 미세 플라스틱이 차곡차곡 쌓이고 있다는 의미”라고 경고했어요 ... ...
- [기획] 내 생각대로 움직인다! 로봇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로봇팔에 전달하면, 사람이 움직이려고 생각한 방향으로 로봇팔이 움직인답니다.장상진 연구원은 “이 로봇팔은 사지 마비 환자 등 팔을 움직이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유용할 것”이라고 기대했어요. 이어서 “기존 로봇팔보다 훨씬 더 세밀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이제 키 크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연구팀은 잠을 많이 자야 성장호르몬이 원활하게 분비된다고 강조했어요. 도트 뒤무드 연구원은 “어린이와 청소년기에 뼈가 잘 자라야 성인이 됐을 때 골다공증이나 골절을 예방할 수 있다”며 “키 성장을 위해서는 운동이 중요한 만큼, 충분한 수면도 필요하다”고 말했답니다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