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선행기술연구센터 DEMO기술연구부 부장은 “블랭킷을 이용한 삼중수소 공급 시스템은 ITER에 처음으로 적용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핵융합 발전을 상용화하려면 건설된 발전소를 더 오래, 안전하게 활용하게 하는 기술도 뒷받침돼야 한다. 핵융합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극한의 조건을 유지해야 ... ...
- 바다거북 알 도둑, 코끼리 밀렵꾼 과학이 끝까지 잡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System)’에 업로드 돼 있다. DAS는 마이크로소프트의 공동창업자인 폴 앨런이 개발한 시스템이다. 여기에는 동물에 부착한 추적기, 폐쇄회로(CC)TV, 현장 보고서, 드론이 촬영한 사진 등 불법 밀렵꾼으로부터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자료가 통합돼 있다. 코끼리 듣기 프로젝트의 책임자인 피터 ... ...
- [독일유학일기] 기말고사에 달린 학점 족보는 필수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어려워 보여도 막상 또 해 보면 별거 아닙니다. 파이팅!" 독일의 대학은 유럽 학점 이수 시스템(ECTS·European Credit Transfer and accumulation System)을 따른다. 학점은 ‘CP(Credit Point)’ 또는 ‘LP(Leistungspunkte)’라 불린다. 학사 졸업에 필요한 학점은 총 180점에서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성인터넷이라 한다. 현재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위성항법시스템(GPS)을 살펴봤을 땐 결코 어려운 일이 아닌 것처럼 보인다. GPS는 지구 중궤도인 2만 200km 상공에 떠 있는 항법 위성을 이용해 지구에 있는 우리에게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다만 그 신호의 속도는 초고속 인터넷에 ...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중성자를 막는 블랭킷 차폐벽 등을 담당한다. 그외 다수의 조립장비, 삼중수소 저장공급시스템, 전원석장치, 진단장치까지 핵융합 반응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다양한 부품도 ITER에 공급한다. 올해 7월 28일 본격적인 조립 착수 기념식과 함께 첫 조립에 들어간 부품도 한국산이었다. ITER에서 ...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을 찾았다. 지상기준점은 다리나 방파제, 대형도로 등 눈에 띄는 지점으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송수신 시 기준점으로 사용하기 위해 좌표 정보가 기록돼 있다. 촬영한 사진에 나타난 지상기준점과 실제 지상기준점의 모습을 비교하면 사진이 촬영된 각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광속조정법 ... ...
- 2020 이그노블 팩트체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효과를 내지만, 그 정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2017년 서형주 고려대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일반 상추와 고대 로마인이 즐겨먹은 로메인 상추를 대상으로 락투신의 양을 비교 분석해, 로메인 상추의 수면 유도 효과가 더 크다는 걸 알아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드디어 발사 성공! 새로운 시작을 열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쏘아 올리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나로호를 개발한 경험은 누리호라는 거대한 발사체의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됐다. 우리 연구팀은 누리호의 높이를 47.2m, 무게는 200t으로 나로호보다 약 1.5배 크게 설계했다. 또 나로호는 2단으로 된 로켓이었지만, 누리호는 3단으로 설계했다. ... ...
- [쇼킹 사이언스] 에베레스트산 높이가 바뀐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대한 정보를 보내주는 ‘전 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GNSS)’과 독자적으로 개발한 위치확인 시스템 위성 ‘베이더우’가 보내준 정보를 이용했어요. 위치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 중력가속도로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는 ‘항공 중력 측정법’도 활용했지요. 또, 레이더로 정상에 쌓인 눈의 양도 ... ...
- [매스미디어] 테슬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정전사고로 번지죠. 그래서 몇몇 과학자들은 교류 전기 시스템보다 안전한 직류 전기 시스템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전세계로 전기를 보내기 위해 인공 번개 개발테슬라는 전류 전쟁 승리 이후에도 아무도 상상치 못한 아이디어를 꾸준히 내놓습니다. 그중 하나가 빛과 에너지, 정보를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