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불이익
침해
위험
가해
희생
분실
d라이브러리
"
손실
"(으)로 총 813건 검색되었습니다.
철로와 바퀴 상태 알아내는 광섬유 센서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인 추앙 선리엔은 “이 장치는 광섬유로 신호가 전달될 때
손실
되는 신호를 펄스탐지기술을 이용해서 거리의 함수로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했다”고 센서의 적용 원리를 설명했다.이 외에도 광섬유가 휘어지면 빛이 광섬유 밖으로 유출돼 신호가 약해지는 극소변형효과를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있다. 이동속도가 초당 30만㎞로 수천㎞에 불과(?)한 전자에 비해 훨씬 빠르고 데이터
손실
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미경 수준에서 빛을 주무르는 기술인 ‘마이크로포토닉스’(microphotonics)에 대한 연구가 한창이다.아직까지 광통신은 정보를 광신호로 변환시켜 광섬유를 통해 단순히 ... ...
왜 고온에서 초전도체를 얻으려고 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따라서 가전제품의 효율을 높이려면 열의 발생량을 줄여야 한다. 그런데 만약 열로 인한
손실
없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물체를 개발한다면?액체 헬륨이 가져온 성과바로 이것이 20세기 초반부터 많은 과학자들이 매달려온 연구대상인 초전도체다. 그러나 그 시작은 아주 우연한 것이었다. ... ...
혜성처럼 살다간 별나그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손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그의 죽음은 우리나라 천문학계의 큰
손실
이 아닐 수 없다.그는 밤하늘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기 위해서 가장 적극적으로 활동했을 뿐 아니라, 천문학자들이다감당해내지못하는실제관측분야에크게기여해왔고, 앞으로도 혜성의 발견과 같은 가치있는 ... ...
추위와 인체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한다. 내온성 동물이 규칙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해야 하는 이유다.내온성 동물은 열
손실
을 줄이기 위해 두꺼운 지방층이나 보호털을 활용한다. 내온성 동물인 인간 역시 체온의 변화를 견디기 위해 두꺼운 ‘겨울나기’ 외투를 껴입거나 난방에 신경쓰는 등 특별한 준비 절차를 필요로 한다.반면 ... ...
왜 양자이론이 암호연구에 이용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성분이 존재할수록 양자 정보가 양자컴퓨터를 벗어나 주위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손실
돼버려 계산을 망치기 쉽기 때문이다. 이를 가리켜 결맞음성 또는 중첩성이 깨진다고 표현한다. 따라서 매우 작은 시스템을 제어해 큐비트끼리는 서로 영향을 끼쳐도 주위 환경의 영향은 가능한 없애야 한다 ... ...
6. 밤을 밝히는 30층 규모의 등대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지진으로 높이가 22m 정도 줄어 들었고, 1100년 또 다시 강력한 지진이 일어나 많은 부분이
손실
됐다. 이때 파로스 등대의 유명한 반사경이 파괴됐다는 전설도 있다. 당시에 등대를 관리하던 아랍인들의 과학기술은 매우 발달해 이 등대에 설치한 반사경으로 비치는 타오르는 불길은 50km 밖에서도 ... ...
30년 인텔의 아성에 도전하는 AMD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순익이 3억9천6백만달러라고 발표했다. 99년 상반기 총매출액이 12억2천7백만달러에 순
손실
만 4천8백만달러였던 것과 비교하면 호조세가 금방 드러난다.시장 점유율도 부쩍 높아졌다. 미국의 시장조사업체인 ‘PC데이터’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미국내 컴퓨터 유통시장에서 AMD의 데스크톱 PC용 ... ...
초고속망 시대에 걸맞는 컴퓨터 보안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못쓰게 만드는 바이러스가 아니고, 다만 실행을 못하게 하는 바이러스라서 다행히
손실
없이 잠시의 혼란만 가져다 준 정도로 끝났다.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은 이미 알려진 바이러스이거나 비슷한 바이러스만을 치료해줄 뿐 최신 바이러스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백신 프로그램이 작동하고 ... ...
빛으로 소리 전달하는 레이저통신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작은 유리를 씌운 것이다. 안쪽의 굴절률이 바깥쪽보다 커 전반사가 일어나 에너지
손실
이 거의 없이 빛 신호가 전달된다. 전반사란 무엇일까? 빛이 서로 다른 매질을 지날 때 속력차이가 생기고, 이것이 빛을 굴절시킨다. 그런데 굴절률이 큰 곳에서 작은 곳으로 빛이 진행할 경우, 입사각에 비해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