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태계"(으)로 총 1,5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모기 먹는 모기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연구팀은 “광릉왕모기 유충은 서식처를 공유하는 모기 유충만을 잡아먹기 때문에 생태계 교란 위험이 낮다”며, “특히 지카 바이러스나 뎅기열을 옮기는 숲모기와 서식 환경이 비슷해서 이들 질병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어요 ... ...
- Part 3. 하늘소, 앞으로 어떤 영향을 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오색딱따구리나 솔부엉이 등의 먹이가 풍부해져요. 그 결과 멸종 위기인 동물들이 다시 생태계로 돌아오는 계기가 될 수도 있지요. 인터뷰 “10년째 하늘소의 매력에 푹 빠져 살고 있어요”_론지코리아(이승현, 최웅, 장현규) 지난 2015년, 하늘소를 좋아하는 청년 3명이 을 ...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물이 공존하고, 토양 속까지 물을 머금은 상태를 유지하며 이런 환경에 적응한 고유한 생태계가 있는 곳을 말해요. 논이나 호수, 늪 등이 모두 습지랍니다. 국립생태원에는 에코리움 앞에 인공 습지가 잘 조성돼 있어요. 대원들은 뜰채로 습지 물을 떠올려 대야에 담아 봤어요. 그 안에는 습지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고유종을 지키는 곳중앙내수면연구소의 목적은 내수면의 생태계를 관리, 보호하고 내수면 수산 자원을 보존하는 거예요. 이미 멸종된 민물고기 종을 복원하거나 관상용이나 식량으로 사용되는 민물고기들을 기르며 보존하고 있지요. 해외에 사는 민물고기 종도 함께 연구해요. 지구 전체에 살고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살고 있는 곳이지요.물장군은 물에 사는 곤충 중 가장 큰 몸집을 자랑해요. 수중 생태계의 최상위포식자로 물속에 사는 웬만한 동물들을 다 잡아먹을 수 있어요. 심지어 같은 물장군을 잡아먹는 ‘동종포식자’이기도 해요. 이강운 박사님은 물장군이 황소개구리도 잡아먹을 수 있기 때문에 ... ...
- 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자연에 푸는 건 시기상조라고 경고하죠. 또 모기가 사라지면 먹이사슬이 끊어져 생태계에 혼란을 줄 수도 있을 거예요. 친구들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유전자 변형 모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을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 시끌벅적 토론터에 남겨주세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나무 사이를 날아다니는 하늘다람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나무 구멍 사이로 하늘다람쥐 두 마리가 빼꼼 얼굴을 내밀고 있어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하늘다람쥐는 앞다리와 뒷다리를 쫙 펴고, 바람을 이용해 나 ... 치는 것도 하늘다람쥐가 살 수 있는 공간을 위협하는 요인이지요. 하늘다람쥐가 우리 생태계를 떠나지 않도록 숲을 보호해 주세요 ... ...
-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탐사도 정말 기대돼요!디엘 대원만의 탐사 비법을 알려 주세요~!관찰하고 싶은 생물의 생태계, 즉 서식지를 먼저 알아야 해요. 딱정벌레를 찾고 싶다면 딱정벌레가 있는 곳으로 가야 하지요.저는 연구하고 싶은 곤충이 보이면 관찰하기 위해 집으로 가지고 와요. 곤충의 서식 환경과 비슷하게 ...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연구에 특화돼 있습니다. 풍력 발전기, 조류 발전기 등 에너지 기술과, 강의 침식, 퇴적, 생태계 복원 등이 주된 연구 분야입니다. 또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이 후원하는 지표 동역학 연구센터(NCED·National Center for Earth-surface Dynamics)의 본부이고, 미국 에너지부(DOE)가 지원하는 풍력 연구 컨소시 ...
- [과학뉴스] ‘귀염둥이’ 수달, 수백만 년 전엔 무시무시한 포식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씹어 먹었을 것으로 추측했다. 지금은 귀여운 외모로 사랑받고 있지만 수백만 년 전 생태계에서는 동물계를 호령하는 포식자였을지도 모른다는 얘기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11월 9일자에 실렸다. doi:10.1038/s41598-017-15391-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