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진화
생물학
자 존 메이너드 스미스와 미국의 이론
생물학
자 조지 프라이스는 게임이론을
생물학
에 적용해 ‘진화 게임이론’을 정립했습니다. 1973년 두 학자는 게임이론과 수학식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으로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진화 게임이론은 고전적인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궁극적인 목표도 역시 머리 밖에서 뇌로 직접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생물학
적인 뇌 신경망과 반도체 회로망을 연결하는 것은 간단한 일은 아니다. 우리 뇌는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동에 의해 작동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복잡한 뇌의 활동을 전기적인 현상만으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함께. 이병길고려대에서 구조
생물학
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국 MRC 분자
생물학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며 세포분열과 관련된 생체분자의 구조를 연구하고 있다.blee@mrc-lmb.cam.ac.uk ‘과학동아’가 1년 먼저 알아본 리처드 헨더슨 박사 리처드 헨더슨 박사는 1996년부터 2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유전자’의 학문적 공헌은 눈부시다. ‘사회
생물학
’을 쓴 미국 하버드대 사회
생물학
자 에드워드 윌슨은 2014년에 낸 책 ‘인간 존재의 의미’에 이렇게 적었다. “과학 저널리스트 리처드 도킨스는 인기 도서 ‘이기적 유전자’를 통해 (해밀턴의 포괄 적합도) 이론을 일반 대중에게 소개했다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펜실베이니아에서 태어났어요. 그는 ‘어류 및 야생생물청’에서 일하며 틈틈이 해양
생물학
에 대한 책을 썼지요.특히 1962년 출간한 은 그 해에 60만 부가 팔리며 베스트셀러가 됐어요. 책의 제목은 ‘살충제의 독성으로 새가 사라져 조용한 봄’이라는 뜻으로, 무분별한 살충제 사용을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분화된 세포를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만드는 연구들도 발표됐습니다. 발달
생물학
과 재생
생물학
역사에 큰 획을 그은 야마나카 교수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 했습니다. 유도만능줄기세포, 의과학에서 핫한 이유? 앞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장점이 생명윤리 문제로부터 ... ...
[Culture] 원본 증명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되지 않는다더군요. 105 퍼센트나 110 퍼센트가 될 수는 있지만요. 그동안 노화하고 손상된
생물학
적 뇌를 복구하려면 인공뇌가 조금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고요. 존경하는 김은경 선생님, 이제 충분히 설명이 됐을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선생님을 진짜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말은 제 인생에서 가장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원주민 마을의 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미역국이나 곰국을 먹을 때 국 위에 기름이 떠 있는 것을 본 적 있죠? 이렇게 물과 기름은 서로 섞이지 않는 대표적인 액체예요. 물과 기름이 섞이려면 서로 끌어당기 ... ‘유화제’를 뿌려 기름을 제거하는 화학적인 방법과, 기름을 먹는 세균을 이용하는
생물학
적인 방법 등이 있답니다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구조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피부 표면을 뚫고 나와 우리가 흔히 털이라 부르는 부위의
생물학
적 명칭은 ‘모간(毛幹)’이다. 모간은 상피세포에 발달한 모낭에서 만들어진다. 모낭은 태아 때 발달이 덜 된 망울 형태로 존재한다. 태어날 때 이 망울은 머리에 약 10만 개, 몸 전체에 300만~500만 개 정도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뻐드렁니쥐과로 쥐와 유전적으로 94% 일치한다. 생존에 최적화된
생물학
적 특성 덕분에 과학자들은 벌거숭이두더지쥐에 큰 관심을 가져 왔다. 벌거숭이두더지쥐의 또 다른 ‘생존 무기’는 없을까. 토머스 파크 미국 일리노이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벌거숭이두더지쥐가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