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민의 '기생충' vs. 봉준호의 '기생충'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기생충은 숙주인 인간이 자신을 좋아하지 않는다는 점을 너무도 잘 알고 있다. 세균,
바이러스
와 달리 덩치가 있다 보니 싫어하는 것도 이해가 되는데, 이런 상황에서 섣불리 증상을 일으켰다간 보복을 당할 염려가 있다. 구충제가 없던 시대에도 몸에 기생충이 있다는 사실이 발각되면 독한 풀이나 ... ...
[팩트체크] 비 오는 날 전기차 충전해도 될까?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하기를 원했습니다. 하지만 취재가 이뤄진 2월 중순까지 코로나19(COVID-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병)의 상황이 잦아들지 않아서 부득이하게 동행 취재를 할 수 없었습니다. 대신 기자가 직접 출동했습니다. 현대자동차의 차량 시승서비스(운전면허증 소지자에 한해 연간 6회 무료)를 통해 전기차 ... ...
무증상 감염, 슈퍼전파… 악재 겹친 코로나19 효과적인 방역 대책은?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1000개가 넘는 미분방정식으로 SEIR 모형을 구성해 감염의 추이를 예측한다. 여기에서
바이러스
에 노출됐지만 감염력은 없는 집단(E)을 다시 잠복기 집단(L)과 무증상 감염자 집단(A)으로 세분화하면 무증상 감염자를 고려한 새로운 수학 모형인 ‘SLIAR 모형’이 탄생한다.SLIAR 모형에서는 무증상 감염 ...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고양이의 수용체에 결합할 수 없습니다.물론 코로나
바이러스
가 변이가 많이 일어나는 RNA
바이러스
라는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19가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지 예측하기는 힘듭니다. 하지만 분명한 건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코로나19가 아직 종간 장벽을 넘어 전파됐다는 증거가 발견된 적은 없습니다 ... ...
바이러스
확진부터 역학조사까지...질병관리본부 르포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같은 공간에 함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일단 코로나19 양성이 확인되면 다른 사람에게
바이러스
가 전파되기 전에 격리가 이뤄져야 한다. 코로나19는 1급 감염병으로 분류된 만큼 감염이 확인되는 즉시 국가격리병상에 수용된다.격리 기간은
바이러스
잠복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코로나19는 WHO의 ... ...
코로나19 결말 영화 ‘컨테이젼’ 시나리오 따라가나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나오고 있어 일단 중증 환자에게 쓰일 가능성은 있다. 글로벌 팬데믹 될까? 영화 속
바이러스
는 치사율이 25%로 불과 며칠 사이에 세계로 퍼져 한 달 만에 2600만 명의 사망자를 냈다. 반면 치사율이 2% 수준인 코로나19는 약 두 달 동안 30개국 2130명의 사망자를 냈고(2월 20일 현재) 그 대부분은 ... ...
실험꾼이 '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된 쥐를 데려다 약물 효과를 실험할 수 있지요.실험 쥐들은 철저한 멸균조건에서 자라요.
바이러스
나 세균에 감염되면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거든요. 또, 실험할 쥐의 유전 정보가 동일해야 순수하게 약물이나 변화 요인에 따라 어떻게 반응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그래서 유전자의 다양성을 ... ...
[SF에 묻는다] 프로스트와 베타 vs. 트랜센던스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바이러스
를 업로드하라고 요구합니다. 윌은 갈등합니다. 그러나 에블린의 말에 따라
바이러스
를 자신에게 업로드합니다. 그렇게 윌은 죽어가며, 모두 에블린을 위해서 한 일이었다고 고백합니다. 인간이 망쳐 놓은 지구를 복구하기 위해서 말입니다. 과연 인간의 의식은 육체와 무관할까? 육체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치료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특정 항체만 순수하게 분리해내는 기술이 핵심인데, 이때
바이러스
의 일종인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자를 조작해 표지 단백질로 항체를 만들어내는 ‘파지 디스플레이(Phage Display)’ 기법이 많이 사용된다(2018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분야다). 예 교수는 “박테리오파지의 ... ...
[한페이지 뉴스] 5700년 전 껌 화석의 주인은?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가진 여성이 껌의 주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또 껌 화석에 들어있던 세균과
바이러스
의 DNA를 이용해 구강 미생물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치주질환이 많이 진행될 때 나타나는 세균군인 레드 콤플렉스(red complex)군 세균 3종과 폐렴구균 등 병원성 세균이 확인됐다. 껌 화석에 포함된 동물과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