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학교"(으)로 총 3,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편집자 주 . 국립국어원은 지난해 ‘코로나 블루’를 대체할 우리말로 ‘코로나 우울’을 선정했습니다. 기사에서는 더 널리 알려진 용어인 ‘코로나 블루’를 사용했습니다. 2019년 말부터 시작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1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정신 혼미하게 만드는 해롱해롱 호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놀이북 10쪽과 함께 보세요! 바로가기(지난 줄거리 : 사관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한 고딱지. 꿈에 그리던 페가수스 호의 순찰대원이 될 거라고 철석같이 믿던 찰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종족 루띠를 따라 해롱 호에 탑승하게 되는데….)“여기가 페가수스 호가 아니라고? 안 돼! 안 돼에에~!”딱지가 ... ...
- [지구사랑탐사대] 곤충박사 팀 김현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소개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동물을 사랑하고 생물학과 교수가 꿈인 순천왕운초등학교 김현지입니다. 곤충박사 팀은 저와 동생 김은수, 부모님으로 구성된 팀이에요. 집에는 또 다른 가족 구성원인 도마뱀 레오파드 게코가 함께 살고 있어요.제가 워낙 동물을 좋아해서 2학년 때 학교 친구들이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치열한 대학 입시 경쟁 때문에 문제 풀이로서의 수학만 접한 학생들이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수학 문제를 잘 풀지 못하거나 시험 점수가 낮게 나오면 수학에 흥미를 잃기 쉽죠. 무엇이든 잘해야 자신감이 생기고 좋아하기 마련이니까요. 그런데, 여러분! 수학은 원래 세상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 ...
- 얼마나 알고 있니? 혐오표현 영역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여러분은 두 문제 다 맞혔나요? 우리는 일상에서 자신도 모르게 혐오표현을 사용합니다. 어떤 표현을 혐오표현이라고 정의하는지, 단순히 말에 불과한 혐오표현이 왜 사회 문제인지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봐요. 또 청소년들의 혐오표현에 대한 인식과 우리나라 혐오표현의 실태를 인포그래픽으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몇 년 전 한 KAIST 학생이 직장인이 겪고 있는 ‘넵병’을 연구한 내용을 소셜미디어에 올려 큰 인기를 끌었다. 설문조사와 모의실험을 통해 ‘넵’을 일으키는 직장인의 감정을 분석한 나름 진지한 연구였다. “이게 이토록 진지할 일인가!” “지극히 KAIST답다”는 평이 나왔다. 이런 학풍 덕분인 ... ...
- [과동 키즈]잘 살고 있지? 지켜 줄 연구는 내가 할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하는 행동생태학 연구실에 진학했다. 기다려지고 설레고, 신나고 재밌었다대학원은 중고등학교나 대학과 좀 달라서 알아서 정보를 찾아가며 공부할 것도 많았고, 야외조사 일정이나 계획도 스스로 준비해야 했다. 그런데 그게 너무 신나고 재밌었다. 석사과정에서는 귀뚜라미 소리를 연구했다. ... ...
- [기획] 그래프, 확률, 벡터까지 더해 램지 수 범위 좁혔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에르되시가 확률적 방법론을 통해 램지 수의 하한을 찾은 이후로 약 70년 동안 수학자들은 하한을 발전시키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2020년 9월, 온라인 논문 등록 사이트 ‘아카이브’에 다색 램지 수의 하한을 크게 높인 연구 결과가 올라왔습니다. 데이비드 콘론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수학과 ...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불렀다. 결과는 인기상이었다. 내가 그 상을 받게 된 것은 순전히 우리 과 친구들과 고등학교 후배들 덕분이었다. 생각지도 않았던 입상으로 맥주 한 박스를 부상으로 받아 그 자리에서 친구들에게 선심을 쓰고 기숙사로 돌아가는 발걸음이 참 가벼웠다.대학원에 진학해 석사 2년차가 됐을 때, 그 ... ...
- [이달의 책] ‘남성 전용’ 우주에 맞선 위대한 패배자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찾고 싶은 욕구는 본능일지 모른다. 그 역시 ‘기네스 세계 기록’ 같은 책을 보며 초등학교 시절을 보냈다.가장 크거나, 힘이 세거나, 극단적이라는 것은 생물학적으로도 충분한 의미가 있다. 일례로 지상에서 가장 큰 포유류인 코끼리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 인간은 두 개뿐인 암 억제 유전자를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