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이 외나로도에 오던 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나로호와 동일했다), 데이터를 상세하게 분석해 보니 1단에 해결해야 할 기술적 문제가 남아있더라는 내용이 2009년 7월 30일 언론에 보도된 것이다. ‘러시아를 믿을 수 없다. 한국이 당했다’는 논조였다. 8월 4일 부랴부랴 나로우주센터에 머물고 있던 러시아측 책임자를 만나 러시아 연구자들이 ... ...
- [미국유학일기] 아이폰의 나라에 매료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진학할 수 있다. 또 SAT 시험은 연간 수차례 응시할 수 있지만, 점수가 모두 기록으로 남아 한 번 볼 때 잘 봐야 한다. AP 시험은 대학 학부 과정에 대한 시험이다. 민사고는 다양한 AP 수업이 있어 나는 학교에서 시험을 준비할 수 있었다. 사실 SAT와 AP 시험은 과목과 공부 방식이 한국 입시와 다를 뿐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만들라고 지시했고 1433년 8월 세자가 간의대에 가서 정초 등과 토론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 만큼 간의대는 이 시기에 이미 완성됐을 것으로 추정된다.장영실은 천문 관측 내용을 바탕으로 1437년 새로운 시계를 선보였고, 세종은 이를 ‘일성정시의’라고 이름 붙였다. 태양이 항상 동쪽에서 ... ...
- ‘똥깡통’으로 디날리산의 ‘똥사태’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빙하 속 똥이에요. 1950년대부터 3만 6000명 이상의 등산객들이 눈똥 67~97톤은 빙하 속에 남아있다고 추정돼요. 지금까지 빙하를 가로지르는 거대한 틈 ‘크레바스’에 똥을 버리도록 국립공원청이 안내했거든요. 그런데 2012년, 이 똥이 자연 분해되지 않는다는 추정이 나왔어요. 국립공원청의 지질학자 ... ...
- [Go! Go! 고고학자] 닭을 처음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혹시, 미래의 고고학자들은 21세기 사람들을 어떻게 생각할까요? 여기저기에 남아있는 귀여운 고양이 사진을 보고, 어쩌면 고양이가 인간을 길들였다고 생각하지는 않을까요? 용어정리*인장 : 특정한 문자나 무늬를 표현하기 위해 재료에 새겨 찍도록 만든 일종의 도장 ... ...
- 해먹 달기 대작전! 사육곰에게 놀이를 선물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아니지만, 창살 바닥은 그야말로 최악이에요.”자연에서 곰의 수명은 25년 정도예요. 남아있는 479마리 중 10살이 넘지 않은 사육곰은 20% 정도지요. 이들은 15년 이상 이처럼 좁고 영양분도 충분치 않은 환경에서 살아야 하는 거예요.“베트남도 한때 사육곰 수가 4000마리에 이를 정도로 웅담 사업이 ... ...
- [Go! Go! 고고학자] 뼈로 삼국시대 사람을 되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수 있답니다. 성장판이 닫혀 있다면 성장이 끝난 성인이라 추측할 수 있지요.또 뼈에 남아있는 흔적을 보면 임당동 유적의 사람들이 생전에 어떤 병을 앓거나 다쳤는지도 알 수 있어요. 턱뼈에서는 충치, 농양 등 다양한 치아 질환을 볼 수 있고요. 또 다리에서는 퇴행성 관절염, 허리뼈에서는 ... ...
- [현장취재] 15주년 팬파티, 오늘은 우리가 주인공!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갇힌 채 지구의 멸망을 기다리는 만화를 가리키며 “마지막 컷에서 동굴 속에 혼자 남아 다시 지구를 살릴 기회를 노리는 마이보가 등장해 희망을 준다”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기도 하셨답니다. 만화 이어 그리기를 함께한 이혜림 작가님은 “올해 독자들이 굉장히 열정적이었다”며 “어려웠을 ... ...
- 밴쿠버●미션, 거대한 나무 흔들다리를 건너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온대 지역에서 비가 많이 내리는 지역에 만들어지는 숲이에요. 지구 표면의 0.2%만 남아있는 자연환경이고, 그중에서도 반 이상이 북아메리카의 서해안에 모여있지요.“나무가 진짜 커요! 안내판을 보니 60m도 넘게 자란대요!”박지우 친구가 놀란 목소리로 말하며 친구들과 손을 맞잡았어요. 거인의 ... ...
- [노벨물리학상] 외계행성 발견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지구와 비슷한 외계행성을 찾으려는 노력은 오래전부터 있었어요.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교수인 미셸 마요르와 디디에 켈로즈가 1995년 ... 발견 이후 외계행성 분야는 폭발적으로 성장했다”며, “외계행성은 미스터리로 남아 있는 행성 형성 과정을 밝혀줄 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