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문에 이런 기사가? 만우절 ‘뻥’ 같은 진짜 기술 3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이후 41명을 대상으로 생체음향 인증 방식을 테스트한 결과 97.16%의 정확도로 개인을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안 책임연구원은 “현재 이 장치를 손목시계 형태로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손목에 시계를 차고 있는 것만으로 쉽게 본인을 인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VR 게임 하듯 ... ...
- 미사일·어뢰·드론 3대 위협 청해부대 호르무즈해협 파병 안전진단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보통난이도 | 호르무즈해협 군함 기술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1년 소말리아 해적에 납치된 선원 21명을 구출한 ‘아덴만의 영웅’ 청해부대가 1월 21일부터 아라비 ... 아군을 보호하는 전자 보호, 전자파를 도청하거나 위협을 분석하는 전자 지원으로 구분된다 ... ...
- 오리온의 겨드랑이 별 '베텔게우스' 에 대한 궁금증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이를 ‘I형 초신성(Type I supernova)’과 ‘II형 초신성(Type II supernova)’ 등 크게 2가지로 구분한다. I형 초신성은 쌍성계에 놓인 두 별 중 하나가 먼저 진화해 백색왜성이 된 다음, 그 핵의 질량이 태양 질량의 1.44배 이상으로 커지면서 압력을 견디지 못할 때 발생한다. II형 초신성은 태양 질량보다 8배 . ...
- [과학동아 키즈] 인공 뇌 연구의 최전선에 서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도 구현했다. 이를 해설이 포함된 정보를 입력해주는 지도학습과 구분해 ‘비지도학습’이라고도 부른다. 지금도 나는 비지도학습 뉴로모픽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고등학교 때 과학동아를 보지 않았더라면 연구자이자 교육자인 교수라는 ... ...
- [별헤는수학] 시민의 힘으로 만든 은하 동물원, 갤럭시 주수학동아 l2020년 03호
- 그 결과 흥미로운 사실을 알아냈는데요, 사람의 뇌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을 잘 구분하지 못한다는 겁니다.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고 답한 사람이 훨씬 많았는데, 사진을 반전시켰을 때도 반시계방향으로 돈다고 답한 사람이 많았던 거죠. 이런 부분을 감안해서 연구한 결과 서로 가까이 있는 ... ...
- [한페이지 뉴스]유인원도 인간처럼 좌우 뇌 비대칭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좌뇌 전두엽보다 상대적으로 크다고 알려졌다. 이런 뇌의 비대칭성은 인간과 유인원을 구분하는 요소 중 하나로 여겨졌지만, 실제로 이들을 비교한 연구는 드물었다.연구팀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 살았던 성인 95명의 두개골과, 침팬지 47마리, 고릴라 43마리, ... ...
- 과학 인포그래픽 만들기, 태양계 행성과 운동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특히 중학교 2학년에 해당하는 수행평가 성취 기준에는 태양계 행성의 특징을 알고 구분하는 능력이 언급돼 있습니다. 수행평가의 설계와 진행, 평가 기준은 교사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필자의 경우 아래와 같은 항목별 기준을 세워 평가를 진행했습니다. 3. 태양계는 어떻게 구성됐나 ... ...
- [아이돌 수학] 경배하라, 새로운 '수학돌'이 탄생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진분수, 대분수의 개념과 그 변환을 배우며 중학교에 들어가면 대분수와 가분수를 구분하지 않고 거의 모든 연산에서 가분수를 바로 사용한다. 그렇다면 왜 승강장은 대분수로 쓴 것일까? 그리고 언제 각 분수를 사용하면 되는걸까? ★분수의 기원과 쓰임새★분수의 기원을 정확히 몇 년이라고 ... ...
- [진로체험] 자산 관리 하는 AI 비서 만든다, 권영준 블루바이저 상무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기초입니다. 저도 기계공학을 공부할 때 공학을 전공하는 건지 수학을 전공하는 건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수학을 많이 배웠어요. 4학년이 돼서 비로소 공학은 ‘수학을 실생활에 필요한 것으로 만들어내는 도구’라고 느꼈죠. 종종 수학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아 전공을 바꿔야 했던 사람도 ...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어렵다. 혹자는 ‘지방맛’을 주장한다.2011년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은 미각으로 지방을 구분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미뢰의 CD36 수용체 발현 정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밝히며 인간이 느끼는 6번째 맛으로 지방맛을 제안했다. doi: 10.1194/jlr.M021873 하지만 이후 여러 관능검사(제품의 품질을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