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적
훈공
공
성공
보람
수훈
한길
d라이브러리
"
공로
"(으)로 총 65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의 신비에 도전하는 셀레라지노믹스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추진하는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책임자인 제임스 왓슨(DNA의 이중나선구조를 발견한
공로
로 1962년 노벨생리·의학상 공동 수상)과 심한 갈등을 초래했다. 당시 왓슨은 벤터의 업적을 “원숭이도 할 수 있는 일”이라고 혹평하기까지 했다. 이 갈등은 결국 왓슨과 벤터 모두 미국 국립보건원을 떠나게 ... ...
화폐에 등장하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경우처럼 과학적인 업적 외에 알코올중독과 같은 정신병 연구를 통해 사회개혁에 힘쓴
공로
가 높이 평가된 것이다. 이처럼 과학자가 고액 화폐에 등장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업적보다 사회와 정치적인 요소가 더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반면 우리나라 최고액인 1만원권에 등장하는 ... ...
전세계 정보감시망 에셜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북부에 위치해서 페르시아만과 수천km 떨어져있는데도 불구하고 1991년 걸프전의 최고
공로
기지로 상을 받았다. 작년에 있었던 코소보 전쟁에서도 정보 수집에 이 시스템이 활용됐다.원하는 모든 것을 도청국내의 휴대폰 가입자가 2천만명이 넘는다. 이들이 하루에 한통화씩만 해도 2천만통. 그런데 ... ...
인공생명체 탄생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genetic code)가 인간에 의해 해독된 것이다. 1968년 니렌버그와 코라나는 ‘천기를 누설한’
공로
를 인정받아 노벨상을 수상했다. 과학자들은 더 큰 욕심을 내기 시작했다. 염기를 계속 붙여나가 길다란 인공DNA를 만들어낼 수 있다면 바로 생명체를 합성하는 길이 열리지 않겠는가.그러나 니렌버그와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머리카락 굵기의 전선에 6백40만개 이상의 신호를 처리할 수 있게 된 것이 수학자들의
공로
란 얘기다.푸리에이론은 많은 용량의 음악을 담는 CD를 탄생시켰을 뿐 아니라 지구 반대편의 사람들과 얼굴을 보면서 통화하는 것까지 가능하게 만들었다.날씨와 미분방정식현대인의 생활과 가장 밀접한 ... ...
축구공과 지오데식돔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발견한 리차드 스몰리(Richard Smalley)와 로버트 컬(Robert Curl), 해롤드 크로토(Harold Kroto)는 이
공로
로 199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축구공이 무수히 많은 발길질에도 끄떡없듯이 이 합성물도 대단히 높은 온도와 압력을 견뎌낼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안정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윤활제, 공업용 ... ...
물질의 비밀을 찾아가는 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호프만과 일본의 겐이찌 후쿠이는 바로 그런 오비탈의 대칭성에 대한 특성을 밝혀낸
공로
로 1981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이밖에도 분자의 모양과 대칭성은 원자핵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진동과 회전 운동의 형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고, 이런 정보는 분자에 적외선이나 마이크로파를 ... ...
DDT를 개발한 노벨상 수상자가 몰랐던 것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박멸하는데 널리 사용됐고, 실제로 말라리아 질병의 발생은 현저하게 감소했다.이런
공로
로 뮐러는 194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물론 뮐러는 DDT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사전에 깨닫지 못했다.그는 ‘이상적인’ 살충제의 기준으로, 우선 곤충에게는 매우 강하고 빠른 독성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플레이아데스와 배다른 자매들 이기도한 이들은 제우스의 어린 아들 디오니소스를 돌본
공로
로 하늘로 올라가 별이 되었다고 한다. 약 1백30광년 떨어져 있는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산개성단이다. 성단 내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별은 V자 끝에 있는 붉은 색을 띤 1등성 알데바란이다. 하지만 이 별은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물리학상-호프트와 벨트만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호프트와 벨트만은 사제지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표준이론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진정한
공로
가 누구에게 있는가 하는 문제로 격하게 싸운 뒤 지금까지도 사이가 좋지 않다고 한다. 이들이 노벨상 수상식장에서 어떠한 감회를 가지고 얼굴을 대할지 자못 궁금하다. 노벨상을 들고 만나는 두 사람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