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해"(으)로 총 16,95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바꾼다면, 그 위에 쌓아 올린 레고는 모두 무너져버릴 것이다. 이전처럼 제대로 쌓기 위해서는 이후에 올려진 모든 레고 조각들을 동그랗게 바꿔야 한다. 블록체인도 마찬가지다. 하나의 블록을 수정하려면 그 이후에 연결된 모든 블록을 동시에 수정해야 한다. 참여자가 늘어나 블록이 많아질수록,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됩니다. 옆에 있는 감정중추도 덩달아 흥분해 정서가 불안해지죠. 흥분을 가라앉히기 위해서는 혈당을 높여야 합니다. 아침에 먹은 탄수화물이 그 역할을 합니다.10. 양쪽 뇌를 균형 있게현행 교육은 주로 입시와 관련 있는 좌뇌의 기능과 특성을 발달시키는 내용입니다. 그래서 양쪽 뇌를 균형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경도, 밝은 밤을 단 한 번 봤다는 점이다. 그만큼 드문 현상이다. 이를 정확히 알기 위해 우리 연구팀은 WINDII의 대기광 데이터도 분석했다. 육안으로 밝은 밤을 감지하려면 대기광의 강도가 최소 200R(레일리, 1R은 1cm2 면적에서 매초 100만 개의 광자가 나올 때의 밝기)는 돼야 한다. 평소 밤의 대기광 ... ...
- [Career] “수학, 미래 암호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를 이용해 암호문을 원래 메시지로 복구할 수 있다. 그래서 공격자가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메시지를 훔치더라도 비밀키가 없으면 내용을 알 수 없다.하지만 현재의 공개키방식 암호가 완벽하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 계산이 어려운 큰 수의 인수분해를 이용하고 있는데, 지금의 컴퓨터보다 훨씬 ... ...
- 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인터뷰에서 “어떤 범죄 현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범용적인 실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범죄 행위보다는 일반적인 상황에 좀 더 초점을 맞춰 실험했다”고 말했다.실험 결과, 일상 생활에서 묻은 DNA와 범죄 행동을 했을 때의 DNA 양은 평균적으로 4배 이상 차이가 났다(범죄일 때가 많다). 시젠 ...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위한 대조군으로 사용할 정상 DNA 염기서열을 제공한 것처럼, 후성유전학 연구를 위해서 질병군과 비교할 수 있는 정상 조직의 DNA 메틸화 지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이에 따라 미국국립보건원(NIH)의 투자로 ‘로드맵 후성유전학 프로그램(Roadmap Epigenomics program)’이 시작됐고, 2011년 250종의 인간 ... ...
- [수학뉴스] 수학의 변신은 무죄! 예술이 된 난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최근 영국의 수학저술가 알렉스 벨로스는 콜라츠 추측이 얼마나 풀기 어려운지 보여주기 위해 콜라츠 추측을 그림으로 나타냈어요.콜라츠 추측은 1937년 독일 수학자 로타르 콜라츠가 제시한 문제로, 어떤 자연수든지 짝수면 2로 나누고 홀수면 3을 곱한 뒤 1을 더하다 보면 결국 1이 된다는 ... ...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하지요. 듀얼 모니터를 사용한다면 두 모니터 사이의 색을 맞추기 위해서도 쓰입니다. 컴퓨터에서 작업한 결과물과 인쇄물의 색을 맞출 때도 활용하지요.우리가 보는 디스플레이는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점점 더 많은 색을 표현할 수 있게 되겠지요. 앞으로 얼마나 ... ...
- [SW 기업 탐방] 세상을 지배하는 미분방정식 온라인에서 쉽게 풀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않았던 것이다. 프로그램을 1개 팔면 100곳에서 수정 요청을 했다. 이 난관을 헤쳐 나가기 위해 여러 방법을 생각하다 클라우스 서비스를 떠올렸다. 당장 수익이 되지 않았더라도 온라인에서 서비스하면 누가 사용하는지 대충 알 수 있고, 사용자가 만든 알고리즘이 남아 맞춤형 프로그램을 계속 ... ...
- Intro. 수학으로 그린 꿈의 도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복잡하고 구불구불합니다. 아래 사진의 팔마노바는 적군으로부터 도시를 방어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구각형 둘레의 꼭짓점마다 있는 망루에서 출발하는 길 9개 중 3개만이 중앙 광장과 연결됩니다. 도로를 막았으니 방어에 유리하겠죠. 이제 어떤 모양으로 도시를 만들지 아이디어가 떠오르시나요 ... ...
이전4954964974984995005015025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