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별 탄생의 순간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직접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이 사진은 HST WFPC 2로 촬영했다. HH30은 황소자리
방향
으로 4백50광년 거리에 있다.사진/C. Burrows (STScI & ESA), the WFPC 2 Investigation Definition team, NASA아래 그림은 원시별 HH30의 제트와 유입물질원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세 원시 ...
새로 밝혀진 파스퇴르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질병에서 미생물학 이론을 확립하는데 기여한 파스퇴르는 1881년 수의학과 의학으로
방향
을 돌렸다. 그는 예방접종에 알맞도록 세균을 산소에 노출시킴으로써 독성을 줄이려고 시도했다.당시 양들의 주요 사망원인은 탄저병으로, 탄저병을 예방하는 문제는 경제적으로도 엄청난 손익을 좌우하는 ... ...
1. CT·암치료·비파괴검사에 이용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표현을 많이 쓴다. 보통 하나의 단층화면을 얻기 위해서는 각도를 달리한 여러
방향
에서 X선 촬영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얻어진 수십만개의 영상데이터를 합성하면 입체영상도 얻을 수 있게 된다. X선 CT의 등장으로 의학은 비약적 발전을 거듭했다. 특히 두개골에 싸여 촬영이 어려웠던 뇌의 ... ...
4. 천문학계 새 스타로 각광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소속). 1963년 미국 해군연구소의 프리드만 박사팀도 이 사실을 확인했으며, 게성운
방향
에서 강한 X선이 방출되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결과는 'X선천문학'이라는 새로운 스타 탄생을 예고했다.그러나 60년대의 과학로켓은 고노 1백km이상에서 수분 정도 머무르는 것이 고작이었으므로 천문학자들의 ... ...
독수리 주변의 5형제 별자리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4등성보다 밝은 별이 하나도 없는 애처로운 별자리다. 방패는 뱀주인의 동쪽에, 남북
방향
으로는 독수리와 궁수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원래 이름은 '소비에스키의 방패'이다. 존 소비에스키는 폴란드의 왕이었으며 그를 존경한 천문학자 헤벨리우스가 붙인 이름이라고 전한다.방패자리에는 M11과 M26, ... ...
3. 생체분자 3차원 밝힌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건설적으로 간섭하여 파의 강도가 증폭되는데 이를 X선 회절선이라고 한다. 그 외의
방향
으로는 파괴적으로 간섭하여 회절선이 나타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단결정의 X선 회절 양상은 연속적인 것이 아니라 비연속적으로 감광되는 점들로서 X선 감지판에 나타난다. 그 전형적인 양상을 (그림5)가 ... ...
입시장벽, 과학영재 앞길 막고 있다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없습니다.현재 여건으로는 국가 재정으로 부담이 어렵다면 기업체에 맡기는
방향
도 고려해봐야 합니다. 기업체로서도 이는 바로 가까운 장래에 대한 '투자'라는 개념이 필요합니다. 만일 이도 저도 어렵다면 학부모 부담을 양성화하는 방법으로도 커버가 가능합니다.홍창선 모든 사람이 과학영재를 ... ...
PART4 제4의 치료법 암백신 실용화 임박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이미 많이 진행된 암에 대해서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궁극적인 암의 치료
방향
은 기존의 수술, 방사선 및 화학요법과 병행해 면역학적 방법 즉 암백신을 사용하는 방식이 돼야 할 것이다.198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암 백신 개발은 현재까지 주로 동물 실험 단계에서 ... ...
기계도 피로를 느낀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파손되게 된다. 한번에 큰 힘을 가해도 잘 끊어지지 않는 철사줄이 작은 힘을 서로 반대
방향
으로 여러번 반복해서 구부렸다 폈다 하면 끊어지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이와같이 단 한번 가하여 파손되는 하중보다 훨씬 작은 동적 하중 하에서 일어나는 파손을 '피로 파손'(fatigue failure)이라고 ... ...
PART1 발암유전자를 알면 암 정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작업이 보편화되리라 예측된다. 그러나 이런 작업을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향
으로 진전시키려면 사전에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해야 한다.암은 확진을 위해서는 조직검사를 통한 병리학적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이 병리학적 진단이 애매한 경우도 있다. 이때는 발암유전자의 검색을 ... ...
이전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