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12월21일 월식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사용해 셔터를 연후 그대로 방치해두고 월식이
끝
나면 셔터를 닫는 것으로 촬영은
끝
난다. 이때 장시간 노출이 되므로 필름은 감도 ISO 100 정도로 조리개는 F16으로 조여준다.이외의 방법은 망원경 등 장비가 필요하다. 이 방법은 촬영에 대한 책자 등을 참조하기 바란다 ... ...
캄브리아기 생물 대번성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보호목적의 단단한 껍질은 필요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선 캄브리아시대가
끝
날 무렵에 육식동물이 출현했다면 많은 동물들은 자신들의 생존을 위해 껍질 또는 골격을 필요로 했을 것이다.또 다른 학자들은 대기중의 산소함량과 관련지어 설명하기도 한다. 선캄브리아시대 말인 약6억년 전의 ... ...
(1) 끊임없이 변신하는 정보사회의 불청객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원래의 부트 스트랩 로더는 대개 디스켓의
끝
으로 옮겨지는데, 이것은 디스켓의
끝
섹터까지 이용하는 경우가 드물다는 약점을 이용한 것이다.대표적인 바이러스들이제까지 종류별로 바이러스의 동작원리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실제 바이러스들을 간단히 살펴보자. 1천여종 되는 바이러스 프로그램 ... ...
「서류없는 사무실」 EDI 확산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EDI에 주력, 미국에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선진기술을 습득하는 등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끝
에 우리나라에 이어 지난달 대만의 무역망에도 소프트웨어공급업체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EDI에 필요한 기술을 완전 국산화해야한다는 장기적인 목표에서 볼 때 정보산업계, 그중에서도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위에 뜬 기름을 모은 뒤 이것을 다시 발효시켜 끓인 죽인데 천하일미다. 부처님이 고행
끝
에 뼈만 앙상히 남았을 때 이것으로 건강을 회복했다고 한다. 제호탕은 오늘날의 버터와 치즈의 중간제품이라고 볼 수 있다.일본인들은 장어를 보신의 으뜸으로 친다. 장어는 일본 뿐 아니라 독일의 '아르 ... ...
지피지기(知彼知己)가 필요한 때 고속전철 국산화 얼마나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이 안은 1차 RFP가 부실한 것으로 판단돼 1년을 연기해 새로 작성되면서 치열한 논의
끝
에 철도청의 '50% 이상'안이 최종적으로 받아들여졌다.그렇다면 왜 철도청은 굳이 국산화의 바로미터인 이 수치를 낮추려하는 것일까. 국산화에 대한 신뢰성문제다. 철도청의 한 관계자는 "일전에 중앙선에서 열차 ...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수 있는 능력 갖출 듯북한이 핵폭탄 만드는 일을 그만두지 않아서 걱정이다. 북한이
끝
까지 국제 핵사찰을 거부하고 핵폭탄 만드는 일을 계속한다면 언제 몇개의 핵폭탄을 제조할 수 있을가. 이러한 궁금증을 풀기 위해 북한의 핵능력을 살펴보기로 한다.핵폭탄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 ...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놈은 수십일이 걸린다.대부분의 뱀은 자신의 알을 보호하지 않는다. 새끼뱀은 주둥이
끝
에 있는 난치로 껍질을 깨고 밖으로 나오는데, 그후에도 어미의 보호를 받지 못한다. 난태생을 하는 뱀은 완성된 새끼뱀을 출산한다.대개의 뱀은 7월부터 9월 초에 알을 낳는다.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독사는 ... ...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생겼다. 그런 사연으로 알골(AlGOL, Algorithmic Language)이 탄생했다.알골 역시도 수많은 싸움
끝
에 탄생했다. 그러나 그 배경에는 갈수록 부흥하는 신대륙(미국)의 위세에 위기를 느낀 구대륙(유럽)의 반항이 섞여있다.1958년 5월28일 취리히 공과대학에서 과학기술용 범용언어에 대한 회의가 열렸다.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직접 접촉하며 무엇을 연구하는가를 미리 살펴볼 수 있다. 4학년1학기까지의 개별연구가
끝
나면 곧 2학기에는 졸업연구에 들어가는데 학사에서 석박사로의 무시험진학이 많기 때문에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상대적인 여유가 많다.일찌감치 스스로 실험하고 스스로 연구해 나가는 자세를 익혀서인지 ... ...
이전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