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뉴턴이여, 나를 용서하시길!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것이었다. 이것은 양자역학이 만들어지는 데도 매우 중요한 기초가 됐다. 혁명은 아직 시작에 불과했다. ‘움직이는 물체의 전기역학(특수상대성이론)’과 ‘물체의 관성은 에너지 양에 따라 달라지는가(E=mc2)’ 등 연달아 나온 두 논문은 운동 법칙과 시간 및 공간에 대한 뉴턴의 관점을 뒤집었다. ... ...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직접 바다 속에 들어가 자세하게 살펴보고, 옛날 선박이라고 판단되면 인양 작업을 시작하지요.크기가 큰 배는 각 조각의 위치가 바뀌지 않도록 잘 표시한 뒤에 하나씩 건져 올려요. 그 다음엔 잘 썩고 무른 나무의 성질을 없애기 위해, 보존 약품인 폴리에틸렌글리콜 용액이 담긴 탱크에 ... ...
- 두 번째 요리 모두에게 공평하게, 국수와 만유인력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자연에도 없는 위 아래의 구분이 왜 우리가 사는 세상엔 아직 있냐는 의문을 던지기 시작했습니다. 마침내 모든 사람은 평등하고 자유롭다는 생각이 사람들 사이에 퍼져 나갔습니다. 만약 뉴턴이 만유인력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우리는 어떤 세상을 살고 있었을까요? 만유인력의 법칙은 표절이다 ...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제시해 주기도 한다”며 “P대 NP 문제가 대표적인 경우”라고 밝혔다. 컴퓨터과학에서 시작된 P대 NP 문제는 클레이 수학연구소가 발표한 7개의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다. 문제의 요점은 답을 찾는 게 쉬운 경우(P)와 답이 맞는지 확인하는 게 쉬운 경우(NP)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다.일반적으로 ... ...
- 2015 지구사랑탐사대 모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모인 가족팀이랍니다. 팀 이름은 함께 살던 개 ‘봄이’에서 따왔어요.2 지사탐 활동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지사탐 1기 때부터 활동했어요. 민규가 평소에 동물에 대한 관심이 많았거든요. 블로그에서 모집 글을 보자마자 ‘자연에 대해 배울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3 지사탐 ... ...
- 동물들이 싸움을 싫어하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경쟁하는 대표적인 동물은 귀뚜라미예요. 귀뚜라미의 공격행동은 더듬이 마주치기로 시작해요. 곤충은 더듬이로 냄새를 맡기 때문에, 더듬이 마주치기로 경쟁자의 종과 성을 구별하지요.경쟁자를 인식한 뒤에는 경쟁자들이 마주서서 더듬이를 빠르게 휘두르거나 공격 노래를 부르고, 큰 턱을 벌려 ... ...
- Part 1 전통의 빅데이터, 족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못했다.분석 결과 재미있는 경향이 나타났다. 어떤 이름이 처음 나타나 조금씩 쓰이기 시작한다. 30년 뒤부터는 급격히 늘어나다가 50년 뒤쯤에 유행의 전성기를 맞는다. 하지만 가장 인기를 끌었던 시점에서 15년이 지나면 그 이름을 사용하는 빈도가 절반으로 뚝 떨어진다. 그리고 40년 정도가 지나면 ... ...
- [생활] 서울미술고 권순현 선생님 수업이 살아 있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스스로 이야기의 주인공, 수업의 주인공이 된 것이다.활동적인 스토리텔링 수학에서 시작해, 선생님은 끊임없이 새로운 방법에 도전했다. 미국의 밥 파이크가 고안한 창의적 교수법, 협동 학습을 하는 배움의 공동체, 몸을 움직이면서 개념을 배우는 액션러닝 등이다. 매년 새로운 과제와 목표를 ... ...
- [생활] 교묘한 데이터 조작, 벤포드 법칙은 못 속인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키나 IQ 분포와 같은 데이터는 벤포드 법칙을 따르지 않는다. 성인의 키와 IQ는 대부분 1로 시작한다. 그렇다면 대체 어떤 숫자데이터에 벤포드 법칙이 나타나고, 나타나지 않는 걸까?로또 복권처럼 각각의 숫자가 나올 확률이 같은 균일분포를 따르는 데이터는 벤포드 법칙을 따르지 않는다. 시험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아니라는 것을 압니다. 분명 양자중력이론이 있고, 그로부터 블랙홀의 엔트로피나 우주 시작의 특이점 같은 문제가 설명되어야 할 것입니다. 1980년대 이후 끈이론이나 고리중력이론 등이 발전해왔지만 아직 어느 길을 가야할지 확실하지 않습니다. 내가 루카스 교수 취임 연설에서 ‘이론물리학의 ... ...
이전4944954964974984995005015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