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있는 입체 사진을 찍는다 파인픽스 리얼3D W1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적용했다. 사람은 두 눈을 가진 덕분에 자신의 앞에 있는 물체를 입체로 인식한다. 두 눈
사이
에 간격이 있어 동일한 사물을 바라봐도 똑같은 형태로 인식하지 않는 것이다. 만에 하나 한 눈을 감고 다른 한쪽 눈으로만 보면 거리도 부피도 제대로 알기 힘들다. 이 카메라도 사람 눈처럼 ‘눈’이 두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광결정 속으로 액체를 흘려서 굴절률을 바꾸는 방법으로 광 밴드갭을 조절했다. 결정
사이
에 있는 공기는 굴절률이 1이지만 굴절률이 1.33인 물을 한 방울 넣어주면 다른 색의 빛을 반사하는 식이다. 이런 성질을 이용하면 광결정을 미지의 시료의 정체를 밝히는 센서로 활용할 수 있다. 광결정의 색깔 ... ...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비롯한 동양의 근대를 형성할 시기에 서구의 영향을 크게 받았기 때문이다. 전통과 현대
사이
에 정체성의 혼란을 느끼는 것과 다르지 않다. 한국 수학의 전통을 되돌아보고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일은 수학의 균형적이고 체계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우리의 문화적 정체성을 ... ...
호랑이, 넌 누구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년 7월 미국 음향학회에서 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2003년 5월 3일 영국의 과학주간지 ‘뉴
사이
언티스트’에는 호랑이가 초저주파로 의사소통한다는 내용이 실려 이 같은 연구를 뒷받침했다. 저주파 소리는 고주파 소리보다 멀리 전파된다는 장점이 있다. 고양이과 동물은 커다란 이개(귓바퀴)를 ... ...
한 꺼풀 벗긴 메디컬일러스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형태를 토대로 추정하면 창이 오른쪽 가슴 중에서도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갈비뼈
사이
로 들어갔을 것”이라며 “상처는 오른쪽 심실까지 생겼을 것”이라고 설명했다.뒤샹의 그림처럼 내려오기?!수염 달린 모나리자 패러디로 유명한 프랑스 화가 마르셀 뒤샹은 모델에게 계단에서 걸어 ... ...
새해 첫 천문이벤트 금환일식을 즐기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떨어져 있다. 따라서 지구에서는 달과 해가 비슷한 크기로 보인다. 결국 달이 해와 지구
사이
에 들어오면 해를 가리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물론 달의 실제 크기가 작다 보니 완전히 가려지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은 일부 지역에 한정된다. 일식이 일어나는 곳은 달그림자가 드리워지는 지역이다. ... ...
자전거 40년 노하우를 한 권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사회에 피해를 끼친다는 주장이다. 아직까지 뚜렷한 정답이 없는 창조론과 진화론
사이
에서 그는 이번에도 진화론 쪽의 손을 들어줬다. ‘지상 최대의 쇼’는 진화론에게 최고의 지지자인 셈이다.미지수, 상상의 역사존 더비셔 지음 | 고중숙 옮김 | 승산 | 527쪽 | 2만 원“대수는 ‘이것에 이것을 ... ...
찰칵 사진으로 떠나는 생태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사이
를 비집고 나오는 어린 소나무예요. 키가 작아 배를 깔고 엎드려 촬영했어요. 자갈밭
사이
에서 자라나는 소나무의 강인한 생명력을 느껴 보세요. 내가 보이나요?( 한재정, 베스트포토)푸른 잎사귀와 너무나 잘 어울리는 제비나비 애벌레예요. 연두 빛의 몸 색깔이 풀잎과 비슷해 구별하기가 쉽지 ... ...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동물의 수가 급격하게 줄어든다면 유전적으로 가까운 동물
사이
에 새끼를 낳게 되고, 결국 동물들의 생존 능력이 약해진다. 종종 러시아에서 우리나라 동물원으로 호랑이를 데려오는 일도 유전적 다양성을 위해서다.인공 복원 VS 자연 복원연구자들은 호랑이를 복원하기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사용해서 수를 나타냈습니다. 대나무 조각을 이용해서 곡물의 양을 표시한 죽산, 매듭
사이
에 나뭇가지와 짙은 색 헝겊을 이용해 수를 표시한 결승문자가 그것이지요. 양반들도 어려운 한자 대신 산가지를 이용해 덧셈, 뺄셈은 물론 곱셈과 나눗셈, 방정식까지 계산했습니다.”어려운 한자보다는 ... ...
이전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