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뉴스
"
기능
"(으)로 총 7,71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에 이로운 단백질공장을 만들다…효소·항체설계자 3인에 노벨화학상(재종합)
2018.10.03
효소만 모은 뒤 다시 변이를 만들어 체에 통과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 점점 더 원하는
기능
을 갖는 효소를 만들어낼 수 있다. 스미스 명예교수와 윈터 교수는 이렇게 만든 효소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을 개발했다. 박테리아에 기생하는 바이러스인 ‘파지’에서 단단한 단백질 껍데기 ... ...
당뇨병 근본적 치료 가능성 높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게 연구진의 판단이다. 이인규 교수는 “당뇨병의 근본 원인인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 떨어지는 것을 예방하면서 당뇨병 환자 간에서 과도하게 생성되는 포도당을 억제하는 방법을 찾았다"고 밝혔다. 이 연구성과는 당뇨분야 국제학술지인 ‘당뇨병(Diabetes)’ 1일자에 게재됐다 ... ...
의약품 부작용 사전에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다른 카이랄성 분자를 찾아낼 수 있어 다
기능
센서로 활용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이
기능
을 이용해 나프록센 등 의약품의 카이랄성을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제작에도 성공했다. 추가 연구에 따라 자외선이나 대기 중의 오염물질 농도 등 다양한 환경 요소들을 감지할 수 있을 것으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21세기 면역학 키워드 '면역항암제' 노벨상까지 받다
2018.10.02
종류의 암에서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CTLA-4와 PD-1과 같은 ‘면역관문'
기능
을 떨어뜨려 약효를 나타낸다는 의미에서 이런 면역항암제들을 ‘면역관문 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왜 이전에는 T세포를 활성화시켜 보려는 항암 면역요법 개발들이 실패로 ... ...
혼조 교수“'당신 덕분에'들었을 때가 행복…내 연구 지금부터가 시작”
과학동아
l
2018.10.02
MD앤더슨암센터 교수의 연구를 바탕으로 암세포의 방해 공작을 뚫고 면역세포가 본래의
기능
을 유지하여 암을 제대로 공격하게 하는 면역항암제가 개발됐다. 암 치료법 중 노벨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혼조 교수는 이와 관련해 “많은 사람이 암 치료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운 ... ...
23번째 노벨과학상 수상…日 과학 위기론 수그러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암 치료를 위해 우리가 가진 면역체계를 이용하는 연구를 시작했다. 당시로서는 면역
기능
으로 암 치료를 한다는 생각은 아무도 하지 않던 시기였다. 혼조 교수는 1992년 면역세포중 하나인 T세포 표면에 PD-1 단백질이 면역반응을 약화시켜 암세포가 성장하기 유리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신진 ... ...
“새로운 항암치료 시대 열렸다” 노벨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1
위해 혁신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그리고 7년 간의 연구 끝에 그는 PD-1이 T세포의
기능
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또한 혼조 교수는 PD-1의 한 부분(리간드)이 암세포에 의해서 발현된다는 점을 발견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PD-1이 암에 대응하는 반응을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 ...
3세대 항암제 탄생 이끈 앨리슨·혼조 교수는 누구
2018.10.01
면역
기능
을 회복할 수 있어 효과적인 항암치료가 가능해진다. 앨리슨 교수는 CTLA-4의
기능
을 억제하는 방법을 처음으로 알아내 물꼬를 텄다. 혼조 교수가 이어 PD-1 억제법을 찾아냈다. 현재는 부작용이 더 적은 PD-1 억제법이 더 많이 쓰인다. 신의철 KAIST 면역및감염질환연구실 교수는 “이 같은 ... ...
면역
기능
의 브레이크를 풀다…항암치료 길 연 美日 과학자 노벨의학상 수상(종합)
2018.10.01
(좌) 제임스 P. 앨리슨 미국 텍사스주립대 면역학과 교수, (우)혼조 다스쿠 교토대 교수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암세포가 가진 ‘숨바꼭질 단백질’을 억제해 면역세포의 암 치료 능력을 높이는 차세대 항암제인 ‘면역관문억제제’의 원리를 발견한 두 명의 의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 ... ...
게임에 빠진 ‘초딩 스몸비’ 휴대전화 코 박고 차도로 불쑥
동아일보
l
2018.10.01
잠금 해제 버튼을 눌러야 한다. 해제한 뒤에도 걸으면 다시 화면이 잠긴다. 좋은
기능
이지만 출시 넉 달이 지났는데도 앱을 내려받은 건수는 10만여 건에 불과하다. 초등학교 4학년 딸을 둔 남지은(가명·43) 씨는 “사춘기에 접어들어 친구들과 하루 종일 메시지를 하는 아이에게 스몸비 방지 앱을 ... ...
이전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