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5,500건 검색되었습니다.
캥거루
과학동아
l
198902
부단한 관찰과 연구가 계속됐다. 그러나 캥거루의 출산현장을 목격한 사람들은 동물
학자
들이나 동물원종사자들이 아니었다. 엉뚱하게도 관람객들과 캥거루를 그리고 있던 화가가 목격한 것이다. '조이'는 누구인가?지금까지 알려진 출산과정을 살펴보자. 어미는 출산이 가까와지면 몸을 좁혀 산문 ... ...
공부 좀 하면 머리가 아파
과학동아
l
198902
느껴지는 감각이다. 이를 거치지 않은 자극은 통증으로 느껴지지 않는 것이다.현재 여러
학자
에 의해서 규명된 통각장치(아픔을 느끼는 곳)는 다음과 같은 곳들이다. 즉 피부, 피하조직, 두개골의 골막, 뇌막내의 경막, 뇌실벽 정동맥, 두개골내의 동맥, 정맥벽과 그 주변이다. 특히 그 중에서도 피부 ... ...
물이 많아지고 더워진다
과학동아
l
198902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이런 얘기는 1988년에 갑자기 만들어진 새로운 발견이 아니다. 과
학자
들은 온실효과에 대해 생각해 왔고 몇해동안 관심을 가져왔다. 나 자신 1979년 8월에 출간된 어느 잡지에 여기서 말하고 있는 얘기를 쓴바 있다.달리 말하면 10년전에 나는 경종을 울렸는데 물론 아무도 ... ...
생명의 신비에 도전
과학동아
l
198902
업적으로 부와 명예가 그의 생전에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연구소로 돌아가 세균
학자
로 일생을 지낸 플레밍교수의 모습에서 진정으로 학문을 사랑하는 과학도의 삶의 자세를 발견하게 된 것이다.●―해골이 아름답게 보여지난 여름방학중에 혼자서 공부해본 골학(骨學)은 정말로 매혹적인 ... ...
엎취락 뒤치락의 7라운드 끝내고 다시 불붙은 미·소의 우주경쟁
과학동아
l
198901
소련 최초의 우주왕복선 부란(눈보라)호가 작년 11월 15일 무인비행에 성공했다. 그리고 며칠 뒤인 11월 28일에는 미국의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호가 다시 발 ... 분산돼 있던 미국의 전 우주기술력을 동원했떤 31년 전의 교훈이 지금 미소 양국의 과
학자
의 가슴에 물결치고 있는지도 모른다 ... ...
알이라면 환장하는 아프리카 뱀
과학동아
l
198901
사진들을 찍는데 며칠밤을 기다리며 수고해야했다.이 뱀은 또 큰눈으로 유명한데 동물
학자
들에 따르면 위보다 눈이 크다고 한다.일단 알이 입안을 통과하면 뱀은 세차게 꼬리를 치는데 이는 거대한 알이 목구멍을 보다 쉽게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단 알이 뱃속에 들어가면 그때부터 긴 ... ...
유전병연구의 대규모 프로젝트 제의
과학동아
l
198901
프로젝트를 제의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유전자에 대한 본격적인 대규모 연구는 생물
학자
가 인류에 기여할 수 있는 최대의 업적"이 될 것이라고 말하면서 미국 연방정부의 지원을 호소했다. 자신이 이 대규모 계획에서 주된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보이는 '왓슨'박사는 DNA의 완전한 이해와 그 ... ...
실험실의 게릴라 사상 처음 말라리아 백신개발
과학동아
l
198901
애걸해 어느정도의 보조금도 받기 시작했다. 그리고 컬럼비아의 정의감있는 젊은
학자
들을 연구원으로 모으기 시작했다. 현재에는 35명의 연구원을 확보하고 있는데 이들의 평균연령은 30세 미만.1983년 '파타로요'와 그의 동료들은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그들은 적혈구에서 말라리아균을 추출, ... ...
아르메니아의 대참사를 계기로 다시 알아본다 지진은 왜, 어떻게 발생하나
과학동아
l
198901
합리적인 대책은 일기 예보처럼 큰 지진의 발생을 정확히 예보하는 것이다.현재 지구물리
학자
의 노력에 의하여 지진예보는 성공하는 경우가 많다. 1975년 중국 동북부 잉코우 지역에서의 지진예보는 완전한 성공이었으며 규모 7.3의 지진이 발생하기 24시간 전에 주민을 대피시켜 인명피해를 줄일 수 ... ...
1년중 관찰에 가장 적합 겨울밤의 별자리 보기
과학동아
l
198901
약 50광년 거리에 있다.그리스 천문
학자
'프톨레마이오스'시대와 AD 10세기의 천문
학자
들은 '카펠라'가 붉은 별이라고 기록하였다. 그러나 현재 '카펠라'는 노란 색으로 관측되고 있다. 따라서 지난 1천년 동안에 그 빛깔이 어떤 이유로 변화한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겨울철의 큰 삼각형과 ... ...
이전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