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마비 환자, 로봇 팔로 새 감각 얻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느껴졌지만, 대부분 어떤 손가락인지는 정확히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가운트
교수
는 “자기 팔처럼 훨씬 자연스럽게 움직이고 느낄 수 있는 로봇 팔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고통을 모르는 벌거숭이 두더지쥐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TrkA 수용체에서 1~3개의 아미노산 구조 변화가 발견됐다. 연구를 주도한 개리 르윈
교수
는 “아주 미묘한 변화가 중요한 특징을 만들어냈다”며 “사막의 땅속에서 살아오는 과정에서 열로 인한 통증을 느끼지 못하도록 진화한 결과”라고 추측했다. 연구 결과는 ‘셀 리포트’ 10월 11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X선으로 밝힌 그리스의 도자기 예술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알려져 있었는데 분석 결과 아연 성분은 검출되지 않았다.예술사학과 조디 맥스민
교수
는 “그리스 시대에는 4년마다 전쟁의 신 아테나를 모시는 축제를 열면서 도자기를 수백 개 씩 제작했다”며 “맨눈으로 볼 수 없는 도자기의 또 다른 색을 찾아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있는 분자기계가 구현되기까지는 앞으로 극복해야 할 문제가 많다. 하지만 페링하
교수
는 노벨상 수상 소식을 듣고 기자들에게 이런 말을 했다. “100년 전 라이트 형제가 첫 비행에 성공했을 때 불과 반 세기도 지나지 않아 제트 여객기가 승객을 싣고 대서양을 건너리라 누가 상상이나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무인 시공 자동화 연구를 하고 있다. NASA는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베록 코시네비스
교수
가 처음으로 제안한 콘투어 크래프팅 기술을 눈여겨 보고 있다. 이 기술은 지구에서 도 ‘핫’한 기술로 2015년 중국의 6층 주택을 짓는 데에도 활용됐다. 이 기술은 재료(주로 콘크리트)를 층별로 쌓아 올리는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교수
는 세포 안에서 miRNA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주도적으로 밝힌 과학자다. 김
교수
팀은 2003년 드로샤(Drosha)라는 효소가 miRNA의 전사체(pri-miRNA)를 인식해 염기 60여 개 길이의 조각으로 만든다는 사실을 밝혔다. 2004년에는 대다수의 유전자 전사를 담당하는 RNA중합효소Ⅱ가 miRNA 유전자의 전사도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한 어린이 독자가 엄마에게 콘돔에 물을 담아보자고 졸랐다는 일화도 떠올랐다. 다트넬
교수
의 얼굴에서 호기심 많은 소년이 겹쳐 보이는 듯했다.그는 본업인 우주생물학 연구를 이어가면서 다음 책도 준비중이다. “과학과 문화가 서로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고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전기 신호를 보내고 있는지도 모른다.지난해 10월 미국 UC데이비스 의대 민 자오
교수
팀은 전기장에 주목했다. 그는 컴퓨터나 텔레비전처럼 전자파가 나오는 가전 제품을 오랫동안 사용했을 때 몸이 쉽게 피로해지는 데에서 영감을 얻었다. 외부의 전기장에 몸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이 가정이 ... ...
[Career] “세계의 바다를 가를 무인선박을 개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60km까지 낼 수 있습니다.김다민 최근 조선업이 불황이다 보니 우려의 목소리가 많은데요.
교수
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김낙완 조선해양산업은 대규모 고부가가치산업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세계경제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기도 하고, 반대로 세계경제의 영향을 아주 많이 받는 산업이기도 합니다.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복원 중인 따오기의 자연번식 소식까지 들려왔어요. 장이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
는 “복원된 멸종위기 동물들이 자연번식에 성공했다는 건 앞으로 그 동물의 개체수가 자연에서도 유지될 것이란 걸 의미하기 때문에 굉장히 뜻깊은 일”이라고 설명했답니다.지난 5월 8일, 소백산에 방사한 ... ...
이전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