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97.53m(320피트) 이상, 가운데 담장은 121.92m(400피트)를 넘는게 좋다고만 나올 뿐 정해진
건
없다.두산과 LG의 프로야구단은 좌우 100m, 가운데 125m인 잠실구장을 함께 쓴다. 하지만 LG의 홈경기에서는 가운데를 121m로 당기고 담장 높이도 2.7m에서 2m로 낮게 바꾼다. 구장의 크기와 담장 높이는 홈런 개수와 ... ...
거울은 숨은 그림 찾기의 달인?!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있다는 것을 아느냐?” “네? 무슨 말씀인지…. 둥근 거울로 봐야 보이는 그림이 있다는
건
가요?” “그래, 지금 네가 손에 들고 있는 원기둥 거울로 봐야 보이는 그림이 있단다.” “정말요? 빨리 알려 주세요.”거울의 아주 특별한 능력주어진 그림처럼 가로선과 세로선을 그려 보자. 그리고 그 위에 ... ...
특명! 호주의 보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5g으로 태어난답니다.호주의 보물은 바로 나라고!“호주에만 있는 진귀한 보물이라고? 그
건
바로 나잖아!”코알라가 뻐기듯 말했어. 에? 코알라가 호주에만 있는 진귀한 보물이라고?“그럼, 코알라뿐만 아니라 캥거루나 웜벳 같은 동물들이 호주에만 살고 있는 진귀한 보물이야!”엥? 이런 동물들이 ... ...
해양동물 보전센터에서 찾은 바다 신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008년 6월 거제도에서 발견됐어. 이후 국립수산과학원과 부산아쿠아리움의 보살핌 덕분에
건
강을 되찾을 수 있었단다.국립수산과학원은 은북이를 바다로 돌려 보내며 등에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추적 장치를 달았어. 그래서 사람들은 이 장치가 내는 신호를 통해 은북이가 남해는 물론 멀리 일본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적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이었다. 연월기의 계획도를 그려 넣고, 연월기와 관련된 사
건
들을 한지에 적기 시작했다. 그리고 한지를 묶어 책을 만든 뒤, 겉장에 ‘연월기록’이라고 썼다. 연월기록이 두꺼워질수록 지오의 생각도 깊어 갔다. 지오의 나라도 마음 속에서 점점 커져만 갔다.* ‘한국 ... ...
외국에서는 수학공부를 어떻게 할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늘릴 계획이라고 해요.분명 수학이 더 중요해진다는 뜻인데 뭔가 자꾸 바뀌는
건
반갑지 않은 일이에요. 교과서가 바뀌어서 형·누나의 참고서를 물려받지 못한 친구도 있을 거예요. 입시 정책도 자꾸 바뀐다고 하잖아요. 과연 이런 변화가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것일까요? 가장 좋은 것이 ... ...
수학으로 물든 제주도! 2010 제주수학축제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120°더라고. 어때, 신기하지 않니? 제주에서 만난 수학동아많은 부스 중 가장 반가웠던
건
단연 수학동아가 있는 곳이었어. 창간호부터 9월호까지 수학동아가 한 줄로 전시돼 있었지. 이곳저곳에 흩어져 수학동아를 읽고 있는 친구들을 만나 보았어. 2010년 2월호 특집이었던 ‘뫼비우스 행성 ... ...
채권도 보험 든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뺀 것을 그 회사의 ‘신용스프레드’라고 해.우철 : 신용스프레드? 뭐 할 때 필요한
건
가요?아빠 : 그럼 이걸 생각해 보렴. 안정된 회사는 신용스프레드가 클까? 작을까?우철 : 회사가 안정하면 부도위험이 적으니까 이자가 높지 않겠죠. 무위험채권의 이자율과 큰 차이가 없을 테니 신용스프레드는 ... ...
함수는 커플매니저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함수 커플 맺기 프로젝트 어땠나요?일동 : 너무 마음에 들었어요! 함수의 조
건
도 쏙쏙 이해됐답니다. 좋아하는 연예인과 커플이 될 수 있다는 상상만으로도 즐거웠어요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있다고요? 과연 그럴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실지 몰라도 인류문명의 씨앗을 뿌린
건
말 그대로 ‘씨앗’이었습니다. 인류가 농경생활을 시작해 정착하면서 문명을 꽃피웠는데 농경생활이라는 게 주로 식물을 키워 씨앗을 거둬들이는 일이니까요.유인원을 보면 짐작할 수 있겠지만 농경이 ... ...
이전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