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d라이브러리
"
지금
"(으)로 총 9,479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12
특화된 연구실에서 전문가가 1년 걸려야 브로드만 영역을 하나 갈라낼 수 있다. 다행히
지금
까지 10개 남짓한 영역이 조사됐고, 이 모두를 우리나라 사람의 뇌 표준판에 옮겨놓아 우리나라에서도 내려받기가 가능하다.애초에 어린 뇌가 부분별로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기능유닛으로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12
위험인물들을 백만분의 1초 안에 추적할 수 있다, 하고 인공지능은 계산했다.그러나
지금
당장은 위치 추적이 어려웠다. 판단을 늦추는 게 낫다는 계산이 섰다. 바로 그 순간에 어떤 SF 공모 사이트에 김은경의 단말기로부터 거의 30만자에 가까운 Black Books 문건이 전송되었다. 판단을 보류할 수 없다는 ... ...
인간과 침팬지 차이는 엔도르핀
과학동아
l
200512
갈랐을까.인간과 침팬지의 DNA는 기껏해야 2% 밖에 다르지 않다. 그런데 어떻게 인간이
지금
처럼 진화할 수 있었는지는 큰 수수께끼다. 최근 가능성 있는 답 하나가 공개됐다. 바로 엔도르핀의 차이다.미국 듀크대 그레고리 워레이 교수는 인간과 침팬지가 모두 갖고 있는 한 유전자를 연구했다. 이 ... ...
디지털 주얼리(Digital Jewelry)
과학동아
l
200512
개발되고 있거나 판매 직전 단계에 와있다. IBM의 반지형 마우스가 바로 그런 경우다.
지금
까지 사람과 컴퓨터가 가장 쉽게 소통할 수 있는 방식은 모니터와 마우스를 이용한 것이었다. 하지만 다음 10년에는 이 같은 방식엔 큰 변화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IBM 연구팀은 현재 팔목에 감는 디스플레이와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12
합리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가장 단순한 것이 진리’라는 말처럼 단순하면서 명쾌하다.
지금
까지 결합 부위는 일부 염기결합이 깨지면서 긴 고리(루프)와 같은 구조를 이뤘거나 느슨한 형태의 구조를 갖고 있으리라 예상됐다. 그러나 실제로는 매우 촘촘한 구조였다. 염기결합도 거의 깨지지 ... ...
2. "열려라 주가"
과학동아
l
200512
월가로 대거 진출했다. 당시 가장 복잡한 문제는 파생상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것이었다(
지금
도 그렇다).1973년 피셔 블랙과 마이런 숄즈는 몇 가지 가정 하에 주식 옵션의 이론적 가격을 결정하는 공식을 만들었다. 블랙-숄즈 모형을 이용하면 옵션 판매에 따르는 위험을 95%까지 없앨 수 있어 옵션 ... ...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12
만들기 위해 한국물리학회 차원에서 100만인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고 밝혔다.
지금
한국의 물리학은 춤추고 싶다. 학생들의 열의를 장단 삼아, 물리학자들의 의지로 추임새를 넣어가며 신명나게 춤판을 벌이고 싶다. 다만 춤판에서도 기존의 춤사위와는 다른 새로운 움직임으로 계속 변화하고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12
그래왔다는 듯 낯선 외지인의 방문을 그저 물끄러미 바라보는 설원에서의 첫 인사.
지금
도 펭귄을 볼 때마다 마음은 수만리 떨어진 설원을 달린다.그러나 김 소장에게 남극이 탐험의 종착지는 결코 아니다. 2001년 그는 약육강식의 국제질서가 지배하는 ‘야생의 설원’ 북극이라는 새로운 미지로 ... ...
소금의 힘에 무너진 쇠소깍 아귀바위
과학동아
l
200512
제주도 한라산 남동쪽 산기슭에서 시작된 효돈천이 바다와 만나는 끝지점에 깊은 소(沼 : 연못)를 이루는 쇠소깍은 눈부시도록 푸른 빛깔을 토해내고 있어 찾는 이로 하여금 감 ... 점차 침식과 풍화를 받아 성장하면서
지금
처럼 하나의 커다란 구멍이 된 것이며
지금
도 계속 커지고 있다 ... ...
오른발보다 왼발이 더 길다
과학동아
l
200512
발표됐다. 이를 계기로 지난 수백만년 동안 우리와 함께해 온 발의 모든 것을 알아보자.
지금
양말을 벗고 왼발과 오른발의 길이를 재보자. 보통 짝을 이루는 오른발과 왼발의 길이가 같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그렇지 않다. 최근 연세대 의류과학연구소 최선희 박사가 20대 203명에게 설문 ... ...
이전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