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뉴스
"
가지
"(으)로 총 7,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학계 최대 숙제 “우주의 지배자 ‘암흑물질’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7.11.03
성과를 집대성한 ‘표준모형’을 확장한 이론에는 기존의 입자와 짝을 이루는 여러
가지
미지의 입자가 존재한다고 보는데, 그 가운데 일부가 윔프의 후보다. 윔프는 올해 타계 40주기를 맞은 고 이휘소 박사가 1977년에 쓴 논문에서 처음 이름을 사용해 우리와도 인연이 있다. 한국에서는 김영덕 IBS ... ...
[써보니] 아이폰X 기다리지 말고 아이폰8 사야할 이유
2017.11.02
트루톤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화면은 눈을 굉장히 편안하게 해 준다. 이 때문에 다시 한
가지
색 온도만 표현할 수 있는 아이폰7의 화면을 보면 대체로 시퍼런 느낌이 드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이 트루톤 디스플레이는 필요에 따라서 끌 수도 있다. 트루톤 디스플레이는 말로 설명하기 가장 어려운 ... ...
종이와 달걀로 무거운 선반을 받쳐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1.02
의 독자들이 선반을 다시 바로 세워야만 하는 섭섭박사님을 위해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보내 주었어요.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올라온 다양한 방법 중 몇 개를 뽑아서 직접 실험해 보았지요. 섭섭박사님은 종이와 달걀로 선반을 바로 세울 수 있을까요? 실험 방법 하나. 가장 튼튼한 ... ...
존 홀드렌 前 백악관 과기보좌관 “과학기술 믿고 탄소감축 미루면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17.11.01
섭씨 2도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 IPCC 제공 다른 연구자들의 관측 자료도 마찬
가지
다.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미국국립해양대기청(NOAA)에 따르면 2014년, 2015년에 이어 지난해 역시 관측 사상 가장 뜨거운 해로 기록을 갱신했다. 현재까지의 추세를 보면 2017년은 두 번째로 뜨거운 해가 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혈 위기, 인공혈액으로 극복하나
2017.10.31
대한 반박 서신이 이어졌는데 한 마디로 엉터리라는 것이다. 즉 서로 유형이 다른 다섯
가지
헤모글로빈기반산소운반체에 대한 임상을 한데 묶어 분석했을 뿐 아니라 이 가운데 높은 사망률로 문제가 된 한 유형을 뺄 경우 메타분석 결과가 완전히 다르게 나온다는 것이다. 아무튼 현재는 이런 ... ...
할로윈 마스코트 나야 나! 별별 호박 대전
동아사이언스
l
2017.10.31
단호박처럼 짙은 녹색인 것을 두고 우리나라에서는 ‘이색칼라배’라고 한다. 두
가지
색을 지니고, 서양 배를 닮았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스파게티 호박의 속을 긁어낸 모습. - GIB 제공 스파게티 호박 (Spaghetti squash) 익으면 노란색을 띠는 이 호박은 마치 멜론처럼 노랗고 동글동글하게 ... ...
병원에 비치된 장난감을 피해야 하는 이유
2017.10.29
GIB 제공 한편 미국소아과학회는 병원의 장난감을 멀리 하라는 권고 외에 다른 몇
가지
사항을 덧붙여 발표했는데요. 그 중 하나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손이 아닌 팔꿈치로 코와 입을 적절하게 가리고 하는 법에 대한 알림 사항을 병원에 게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기침 및 재채기를 할 때 ... ...
맞고 자란 아이가 '사랑의 매' 더 신봉한다
2017.10.28
행복한 사람이 될 수도 있었을까? 적어도 10대 시절이 좀 덜 험난했을 거 같긴 하다. 또 한
가지
안타까운 사실로 어렸을 때 맞고 자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사랑의 매’를 더 옹호한단 보고가 있었다. 사람은 자신이 한 고생을 ‘나쁘고 아무 의미 없었던 일’로 생각하기보다 ... ...
[카드뉴스] 사장님은 왜 등산을 좋아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0.28
인간이 좋아하는 환경 조건 세
가지
를 제시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오리언스의 세
가지
요소를 가장 잘 만족시키면서도, 누구나 쉽게 갈 수 있는 곳은 주변의 작은 산입니다.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한 연구에서는 15분 간 틀린 맞춤법을 찾는 과제를 한 뒤 참가자를 둘로 나눠 각각 해안과 목장의 사진, ... ...
'반도체' 없는 인텔의 데이터센터 이야기
2017.10.27
연결되었지요. 맥아피 교수가 반대에 세운 것은 ‘긱(Geek)’입니다. 우리에게는 흔히 한
가지
에 집중하는 사람을 뜻하는 일본어 오타쿠의 변형어인 ‘덕후’로 더 잘 통하기도 합니다. 맥아피 교수는 긱들의 판단에는 맥락과 데이터가 있다고 말합니다. 결국 이 이야기는 데이터 기반의 머신러닝으로 ... ...
이전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