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않는 질문이 있으니 지치지 않아 좋다며 웃었다. 행복한 웃음이었다.▼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Intro. 미스터리 입자 헌터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Bridge. 입자물리학 119년의 역사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Part 3 '코리아늄'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km를 통과하는 데 수조 원의 비용이 든다.고압송전선 갈등의 근본 이유는?고압송전선을 계
속
건설하는 이유는 우리나라가 전기의 ‘대량 생산, 대량 송전’을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기생산량이 월등한 원자력발전소는 대규모 냉각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해안가에 짓는다. 여기서 생산한 전기를 ... ...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와이파이를 이용해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검색을 할때를 생각해 보자.라이파이는 정보고
속
도로를 거의 무한대로 넓힐 수 있다. 라이파이가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넓이는 상상을 초월한다. 가시광선의 주파수 영역은 380THz~750THz(테라헤르츠. 1THz는 1000GHz). 무선통신 전체 주파수보다도 무려 1만 ... ...
선물 발송의 달인, ‘산타다 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4호
출발했다. 이제 썰렁홈즈는 1억 6000만㎏이 넘는 무게의 선물을 싣고, 초
속
1500㎞에 가까운
속
도로 31시간 동안 쉬지 않고 1억 6000만 가구의 집에 선물을 전달하고 올 것이다. 무사히 선물 배달을 마칠 수 있을까? 올 크리스마스가 즐거운 날이 될지 끔찍한 날이 될지는 이제 썰렁홈즈에게 달렸다 ... ...
콜록콜록, 작지만 무시무시한 미세먼지의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4호
4~9개월 사이의 사산할 확률은 13.8%까지 올라간다고 해~. 미세먼지,이렇게 대비하자!몸
속
으로 직접 들어가 봤더니 생각보다 무서운 일들이 많이 일어나네…. 나도 조금 놀랐어. 내가 강한 아이라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큰 사고를 칠 줄이야. 미안한 마음에 준비한 게 있어. 내가 알려준 대로만 잘 ... ...
눈 VS 우박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4호
강한 뇌우가 내릴 때에는 커다란 우박이 내리기도 하는데요. 이때 생긴 우박은 구름
속
에서 얼음알갱이가 오르락내리락하며 얼었다 녹기를 반복하면서 자라요. 그래서 우박을 반으로 잘라보면 나이테처럼 둥근 원들을 볼 수 있지요(오른쪽 사진) ... ...
아름다운 LED 조명으로 반짝 반짝 크리스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4호
★조명박물관에 들어서자마자 명예기자들은 깜짝 놀랐어요. 동화책 세상이나 꿈
속
에서나 볼 것만 같은 아름다운 방들이 있었거든요. 따뜻하게 활활 타오르는 벽난로, 그 옆에는 산타클로스가 다녀갔는지 선물이 가득한 양말이 걸려 있었죠. 호두까기인형들이 지키고 서 있는 바이올린과 첼로의 ... ...
까마귀의 ‘새대가리’
속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4호
흔히 머리가 나쁜 사람을 보고 ‘새대가리’라고 놀리지요. 하지만 새들이 들으면 화 낼 소리예요. 특히 까마귓과 새는 도구를 사용하고 사회적 관계를 맺을 정도로 머리가 매우 좋거든요.독일 튀빙겐대학교 안드레아스 니더 교수 연구팀은 까마귀의 뇌를 관찰한 결과, 지능을 발휘할 때가 되면 사 ... ...
별빛
속
의 환상적인 토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3호
태양계 여섯 번째 행성인 토성은 크고 아름다운 고리로 유명해요. 또 가장 많은 수의 위성을 거느리고 있지요. NASA는 지난 11월 12일, 토성 탐사선 ‘카시니’가 찍은 환 ... 성분을 확인하는 등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답니다. 임무를 마치는 2017년까지 카시니의 활약은 계
속
이어질 거예요 ... ...
하이에나의 ‘SNS’는 미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3호
마찬가지로 미생물의 종류가 달랐고. 다시 말해서 우리가 남긴 시큼한 덩어리
속
에 있는 미생물들에 따라 덩어리가 전달하는 정보가 달라진다는 이야기지.미생물에 의존하지 말고 언어를 배우는 게 어때?인간도 마찬가지면서 뭘 잘난 척을 하는 거유? 인간마다 똥에서 사는 미생물이 다 다르기 ... ...
이전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