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현대 모터스튜디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2015년 수학동아 독자기자단의 첫 번째 방문지는 서울 도산공원 사거리에 위치한 현대 모터스튜디오! 지난해 문을 연 현대 모터스튜디오는 자동차에 담긴 문화와 이야기를 보고 들을 수 있는 국내 최초의 자동차 브랜드 체험관이다. 마치 미술관처럼 자동차가 전시돼 있고, 자동차 문화 큐레이터의 ... ...
- [지식] 유리를 샌드위치처럼 만들면 어떨까?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와그작!”이 소리는 누군가 단무지를 씹어 먹는 소리…가 아닌 안전유리가 깨지는 소리다. 보통 유리는 ‘와장창’하고 수천 조각으로 흩어지지만, 안전유리는 얌전히 깨진다. 유리와 유리 사이에 들어있는 특별한 물질이 파편이 밖으로 흩어지지 않도록 잡아주기 때문이다. 이 안전유리는 우 ... ...
- [생활] 서울미술고 권순현 선생님 수업이 살아 있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선생님 대신 학생들이 칠판 앞에 섰다. 서로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고 노래와 율동, 소림사 권법에 기합까지 넣는다. 문학이나 음악, 체육 시간이 아니다. 서울미술고 권순현 선생님의 수학 시간이다. 그런데 선생님이 아니라 학생이 수업을 이끌어 가고 있었다. 학생이 수업을 받는 게 아니라 수업 ... ...
- [생활] 빅 히어로 천재 형제, 가장 사랑스러운 슈퍼히어로를 만들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모름지기 ‘히어로’는 슈퍼맨, 배트맨, 아이언맨처럼 8등신 다부진 근육질 몸매에 멋진 슈트를 입어야 제맛! 그런데 여기, ‘히어로’의 역사를 다시 쓸 치명적인 몸매의 소유자가 나타났다!사람의 몸과 마음을 치료하는 힐링로봇!영화 속 주인공 베이맥스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지금 ... ...
- 1.6mm의 바삭한 과학! 감자칩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나한테는 아주 많은 형제자매가 있어~. 검은 흙에 덮여서 몸집을 열심히 불릴 때마다 우린 서로 장래희망을 이야기하지. 몸집이 작고 동그랬던 감자는 인간의 휴게소에서 파는 통감자구이가 되고 싶다고 했고, 엄청난 덩치를 자랑하던 감자는 세계에서 가장 긴 프렌치프라이(감자튀김)가 될 거라 ... ...
- Part 1 전통의 빅데이터, 족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가우스, 뉴턴, 아인슈타인 같은 해외 유명인은 성만 불러도 누군지 금세 알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만약 유재석을 ‘유’라고만 불렀다고 상상해 보자. 아무도 유재석인지 모를 것이다. 십여 명만 모여도 같은 성씨를 가진 사람이 한둘이 아니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체 인구 중 김씨 ... ...
- [생활] 교묘한 데이터 조작, 벤포드 법칙은 못 속인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사상 최악의 데이터 조작 사건이 서울의 한 중학교에서 일어났습니다. 중학교 2학년 학생 200명이 수학 시간에 과제로 내준 설문조사의 데이터를 조작한 것입니다. 대체 어떻게 된 걸까요? 이 사건을 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2014년 2월 9일 월요일, ◯◯중학교 수학 교사 김 모 씨는 중학교 2학년 수 ... ...
- [창의] 2화 붉은 벽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벽은 붉은 벽돌로 가득했다. 찬이는 어릴 적 좋아했던 블록 쌓기 놀이가 떠올랐다. 놀이의 마지막이 집이든 성이든 아니면 그 무엇도 아니든 그건 크게 중요치 않았다. 차곡차곡 하나 하나 블록을 쌓는 일 자체가 너무 좋았다. ‘딸각’하고 블록이 커져가는 소리가 이어질수록 왠지 모를 뿌듯함이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아인슈타인조차 일반상대론이 품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다 알지는 못했다. 그래서 처음에는 팽창하는 우주와 블랙홀을 부정했고, 중력파를 부인하는 논문을 제출하기도 했다. 일반상대론은 창시자가 죽은 뒤인 1960~1970년대에 와서야 황금기를 맞는다. 일반상대론은 아인슈타인만의 것이 아니며, ... ...
- [과학뉴스] 국내 최초 수각류 공룡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지난 11월 말, 국내에서 처음으로 수각류 공룡 화석이 발견됐다는 소식에 전국이 들썩였다. 두개골까지 완벽하게 보존된, 생전 몸길이가 50cm가 채 안 됐을 초소형 공룡의 화석이 경남 하동에서 발견됐다. 한국도 이제 공룡 연구의 메카가 될 수 있을까.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임종덕 국립문화재연구 ... ...
이전4904914924934944954964974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