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기원이 되는 마크 와이저의 논문(1991), 조나스 솔크
박사
의 소아마비백신(1955), 버나드
박사
의 최초의 인공심장 자빅의 기사(1967) 등 19세기부터 현재까지 과학기술사의 수 많은 이정표들이 이 잡지의 과월호에 남아 있다.특히 이 잡지는 미국의 지성인과 과학자들이 즐겨 읽고 잡지에 실린 내용을 ... ...
플라스틱으로 만든 나노 칵테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선택한 분야이기 때문에 연구실 학생들은 더 열심히 연구한다.연구팀은 지금까지
박사
27명과 석사 43명을 배출하며 160여 편의 논문과 국내외 특허 20여건을 냈다. 그런데 논문 발표 건수는 박 교수가 KAIST 학생처장과 기획처장을 맡아 바빴던 2001~2005년 동안 오히려 급증했다. 박 교수는 “아마도 제가 ... ...
파리가 잡은 살인범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6월 30일이었다. 소녀가 살해된 뒤 몰려든 파리 떼가 진실을 알려준 것이다. 그린버그
박사
의 증거는 받아들여졌고, 배심원들은 콜먼에게 사형을 선고했다.영국 작가 리처드 플랫이 쓴 ‘범죄의 현장’에 소개된 사례다. 이 책은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범죄수사의 숨겨진 면을 속속들이 ... ...
별에서 피어난 생명의 향기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이런 물질이 우리 태양계 외부의 다른 별 주위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라우스
박사
는 “이 별 주위는 수십 억년전 우리 태양계의 초기 모습과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거대하고 편평한 가스 원반이 이 별을 중심으로 돌고 있으며 원반 속에 있는 암석과 먼지, 가스가 뭉쳐 지구와 ... ...
현실이 된 '투모로우'의 재앙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늘어 이런 현상이 생겼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그러나 영국기후연구소 리처드 우드
박사
는 “연구 결과 대로라면 영국이나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기온이 1~2℃ 떨어져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 ...
2005년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수출한 최초의 방송 서비스다. 06_B-Z형 DNA 전환 수수께끼 규명김경규, 김양균, 하성철
박사
팀은 주로 오른쪽 나선형태인 B형 DNA가 단백질을 만들 때 왼쪽 나선형태인 Z형 DNA로 바뀌는 과정에서 두 DNA 연결부위의 구조를 규명해 ‘네이처’지에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07_초음속 훈련기 T-50 1호기 ... ...
향수를 좋아한 낭만 고릴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도구를 사용하는 모습도 2005년 처음 공개됐다. 미국 야생보호협회 토머스 브로이어
박사
팀은 아프리카 콩고의 한 국립공원에서 야생 고릴라 두 마리가 기다란 나무막대기를 이용해 물 길이를 재는 장면을 촬영해 ‘생물학 공중도서관’에 발표했다. ‘레아’라는 이름의 암컷 고릴라는 막대기로 물 ... ...
4. 진실DNA를 캐낸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것이다. 게시판 내용을 무조건 퍼담기 바쁜 언론에 대한 따끔한 충고도 있지 않는다.최
박사
도 “이번 파문은 전문가가 생각하는 것보다 일반인에게 알려진 부분이 지나치게 부풀려진데서 시작했다”면서 “실제 연구 성과를 깎아내리려는 것이 아니라 비과학적인 태도와 맹신을 과학적으로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등장했다. 그들에게 과학동아는 글쓰기의 등용문이었다. 정재승, 최재천, 이융남
박사
는 과학동아를 통해 글을 쓰며 크게 필명을 날렸다. 과학저술가 이인식 과학문화연구소장도 ‘성의 과학’ 등을 연재하며 두드러진 활동을 했다.‘보고 즐기는 과학잡지’라는 과학동아의 컨셉이 1990년대 중반 ... ...
스트루베와 뉴컴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문학
박사
가 됐다. 그 직후 천문학으로 연구 방향을 전환한 스트루베는 불과 2년 뒤 천문학
박사
가 된다.스트루베는 에스토니아의 도르파트대 천문대에서 23cm 굴절망원경으로 관측을 했다. 그는 남달리 정밀한 관측에 재능이 있어 별의 위치 측정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는 1827년까지 약 12만개의 별들을 ... ...
이전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