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내렸다. 이 혜성은 조선시대에 아홉 번째로 나타난 혜성이었는데, 약 한 달 동안 지속된 뒤 1450년 초에 하늘에서 사라졌다. 주목할 점은 이순지와 김담이 이 혜성을 관측한 이후부터 혜성 관측 기록이 이전보다 풍부해졌다는 점이다. 그때까지 혜성 출현을 확인한 것은 총 8번이었고, 1회에서 최대 6회 ... ...
- [인류, 지구를 먹어치우다 냉장고로 부족해?] Part 1. 전세계는 얼마나 먹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 mega [형용사] (주로 명사 앞에 씀) 엄청나게 큰[인상적인]eater [명사] (보통 형용사나 명사 뒤에 쓰여) …을[…하게] 먹는 사람[동물]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류, 지구를 먹어치우다 냉장고로 부족해?] Part 1. 전세계는 얼마나 먹나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Part 3. 몸은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삭의 성분을 바꾸기도 한다. 특정 화학 물질을 희석한 물에 벼 이삭을 담갔다가 말린 뒤 심으면 가지각색의 벼가 나온다. 4만 개 유전자를 다 건드려 놓기 때문. 이 과장은 “여기서 육종가의 눈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육종가가 2만 개 이상의 수많은 돌연변이 벼 중에서 팔 수 있을 만한 걸 ...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기사가 의미심장하다. 4회에 걸쳐 ‘상대론의 물리학적 원리’라는 해설기사가 나온 뒤, 다시 3회에 걸쳐 ‘아인스타인(아인슈타인)은 누구인가’라는 제목의 기사가 나왔다.이 글을 기고한 사람은 베를린에 있는 황진남(黃鎭南)이었다. 함경도 함흥에서 태어난 그는 “어려서 하와이에 들어와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적과 싸운다. 먼저 선천면역 체계가 병원균을 식별하고 잡아먹는 등 1차적으로 대응하고, 뒤이어 T세포, B세포 등 적응면역 체계가 가동된다. 전쟁은 양단간에 결정이 난다. 우리가 건강을 잃든지 바이러스가 제압되든지. 면역세포와 병원균이 치르는 이 치열한 전쟁을 저항(resistance)이라고 부른다 ... ...
- PART 4. 이그노벨상 실험체? 제가 한번 돼보겠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공동수상한 슬로바키아 코메니우스대 나탈리아 카모디오 박사팀은 키스를 하고 난 뒤 10분에서 최대 60분 이내로 침의 DNA를 조사하면 키스 상대의 DNA 일부를 찾을 수 있다고 ‘국제법과학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성범죄의 범인을 찾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발표하기도 했다.이 연구에서 피어러 교수팀은 컴퓨터 3대의 키보드에서 세균을 채집한 뒤 각 컴퓨터 소유자의 손가락에서 얻은 세균과 DNA를 비교했다. 그 결과 각각의 키보드에서 모은 세균의 DNA는 해당 컴퓨터 소유자의 손에 사는 세균의 DNA와 가장 유사했다.컴퓨터 마우스와 손바닥에서 채취한 ...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훨씬 잘 찾을 수 있어요. 그러면 청개구리는 계속 건강한 개체군을 유지하지만, 경쟁에 뒤쳐지는 수원청개구리는 개체수가 점점 줄어들게 되지요.또 다른 가설은 ‘흡수가설’이에요. 흡수가설에서는 개체수도 적고 힘도 약한 수원청개구리가 청개구리 종에 흡수될 것이라고 이야기하지요. 그리고 ... ...
- [생활] 지도 위의 세상을 만나러 고고씽~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도로까지 자세히 볼 수 있어요.각도만 재도 거리를 알 수 있어요!박물관 내부를 돌아본 뒤 야외전시장으로 나오면 삼각측량을 체험해 볼 수 있어요. 직접 거리를 재기 어려운 광대한 지역이나 굴곡이 있는 산과 같은 곳에서 거리를 잴 때 쓰는 방법이에요. 산 정상 부근에서 볼 수 있는 삼각점들로 ... ...
- 굿바이, 메신저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새벽 1시 20분쯤 메신저호가 자신의 트위터에 작별 인사를 남겼어요. 그리고 3시간 뒤인 새벽 4시 반쯤 수성에 충돌해서 사라졌답니다. 이 충돌로 수성에는 지름 16m 크기의 큰 구멍이 생겼어요. 하지만 안타깝게도 지구에서 보이는 수성의 반대편에 충돌했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이 장면을 관찰할 수 ... ...
이전4904914924934944954964974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