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보다 수학을 사랑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작품 설정에서 박사는 영국 케임브리지대 학위를 받은 것으로 되어 있는데, 하디는 이 대학의 교수였다. 그는 ‘어느 수학자의 변명’이라는 저서에서 마치 수학의 정리를 증명하듯, 엄선된 용어로 수학에 대한 생각을 간결하게 표현했다. 29개의 수필로 구성된 이 책은 페이지 수는 얼마 되지 ... ...
- [시사] 360°로 보는 동그란 세상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사진을 ‘한 장의 구’라고 표현하는 아마추어 사진작가가 있다. 프랑스 과학대학 EPITA에서 컴퓨터 과학 분야를 연구하는 알렉상드르 뒤레뤼츠 교수다. 사람의 시야로 볼 수 있는 입체 공간을 어떻게 한 장의 사진으로 담았을까.반복으로 무한을 담다!뒤레뤼츠는 작은 행성을 한 장에 담는 사진 ... ...
-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제곱근과 전자, 그리고 클리퍼드수학동아 l2014년 07호
- 셰익스피어의 문장이 인용돼 있었다.클리퍼드는 내가 예전에 일하던 런던대학 수학과의 역사에서 수학적 귀납법을 체계화한 오거스트 드모르간이나, 현대 행렬이론을 정립한 중심인물인 제음스 조셉 실베스터와 함께 전설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수학자다. 하지만 가공할 독창성이 풍부했던 ... ...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만드는 것은 아주 어려운 문제였다. 결국 수학자들에게 문제 해결을 요청했다.베를린공과대학 수학연구소의 크리스티안 립헨 교수는 지하철 운행에 필요한 인원과 차량의 수를 늘리지 않으면서, 환승할 때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다. 그 결과 2005년 새로운 운행표를 만들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밖 생명체를 찾는 일은 포기해야 하는 걸까.이강환서울대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켄트대 로열소사이어티 펠로우를 거쳐 현재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연구사로 활동하고 있다. 우주생물학 도서 ‘우리는 모두 외계인이다’ 등을 번역했고, 최근에는 우주 ... ...
- “진주운석이 소중한 건 우주 궤도를 알 수 있기 때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소행성, 태양계 전반에 걸친 우주 이야기는 수준이 무척 높았지만, 참석자는 중학생부터 대학생, 성인까지 다양했다. 한 고등학생 독자가 “운석이 어디에서 왔는지 어떻게 분석하나”고 질문했다. 변 교수는 “운석이 지구 중력 영향 때문에 휜 궤도를 보정하고 지구와 부딪친 속도와 각도를 구하면 ... ...
-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 캐럴 그레이더 박사 "무한반복 실험 즐겼더니 노벨상 받았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이 주제를 다른 박사후 연구원에게 제안했는데 여러 핑계를 대며 거절했다”며 “대학원생이었던 그레이더가 호기심을 가지고 도전하겠다고 나섰고, 실험에 대한 몰입도가 매우 높았다”고 칭찬했다. 1984년 크리스마스 선물제자와 스승이었던 그레이더와 블랙번 교수는 텔로미어의 신비를 밝히기 ... ...
- 와인 잔에 든 맥주가 더 맛있다! 음료와 컵의 밀당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내릴 때 냄새에 이끌려 또 한 잔…. 하루에 서너 잔씩 마실 정도로 커 피를 좋아하지만 대학교 때는 입에 대지도 않던 시절이 있었다. 딱 4월쯤이었다. 쌀쌀한 날씨에 따뜻한 카페라떼가 먹고 싶어 학교 매점에서 한 잔 산 뒤, 동아리방에 잠시 들렀 다. 그리고는 커피를 놓고 강의실에 들어갔다. 몇 ... ...
- 혼수상태에서 깨어나 보니 수학 천재?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씨는 “처음에는 너무 놀라서 내 딸조차 안을 수 조차 없었다”고 말했지만, “현재는 대학에서 내 능력을 발휘해 다른 사람들에게 수학을 쉽게 알려 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 ...
- [뉴스포커스] 수학자를 꿈꾼 소년, 이달의 과학기술자로 우뚝 서다!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주목을 받는 수학자로 성장했다. 바로 5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을 수상한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김영훈 교수 이야기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은 자연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남긴 학자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한 달에 한 명에게만 수여된다.김 교수는 26년 전인 1988년에 우리나라 ... ...
이전4904914924934944954964974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