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어린이과학동아
"
줄
"(으)로 총 5,611건 검색되었습니다.
무덤에서 살아나온 조선의 의복을 만나다
기사
l
20161222
편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배자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배자는 덧입는 조끼 형태로 남녀 모두 입었습니다. 옆구리에서 앞뒤판을
줄
로 묶는 방식입니다. 제작과 착용이 편해 실용적일 것 같아 보였습니다. 저도 한 번 도전해서 직접 만들어 보고 싶었습니다. 조선시대 남녀가 덧입었던 조끼인 배자 그 후 회의실로 이동해서 전시 옷들의 복 ...
위조지폐 구별법 7가지!
기사
l
20161213
보세요. 결이 달라서 'WON'이라는 글자가 보입니다(사진으로는 잘 안 보이네요). 위조지폐 구별법 여섯 번째, 아래 그림 속의 빨간
줄
이 쳐저 있는 영역을 비추어 보세요. 문자가 인쇄된 선이 보인답니다. 위조지폐 구별법 일곱 번째, 지페 뒷면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른쪽 하단에 '10000'이라는 숫자가 써져 있죠? 각도에 따라 ...
초등학생 때부터 한자를 배워야 할까요?
토론
l
20161207
배워야 해요! 반대 : 순우리말을 배우는 것이 먼저예요. 한자어는 초등학교 때 배우지 않아도 돼요! 토론터에 의견을 작성해
줄
때는 찬성 또는 반대하는 입장을 먼저 밝히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를 작성해 주세요. 예시를 들어도 좋습니다. (p.s. ‘시끌벅적 토론터주제 신청’도 많이 참여해주세요~!) ... ...
수달연구센터
포스팅
l
20161201
꼬불꼬불 산을 넘어서 수달연구센터에 갔다. 산속에 있어서 작을
줄
알았더니 도착해보니 생각하는 것보다 더 컸다. 그리고 우리가족이 이런 산속에서 수달이 어떻게사나 물도 없는데 어떻게사나 막 그런말을 하였다. 그런데 보니 물이 있었다! 옛날에 수달을 보긴했지만 잘 기억이 않났다. 그런데 오늘 수달을 보니 그때의 기억이 생생하게 났다. 밖 ...
엄마, 언니와 다녀온 수달연구센터
기사
l
20161201
산을 넘어서 수달연구센터에 갔다. 산속에 있어서 작을
줄
알았는데 도착해서 보니 생각했던 것보다 컸다. 그리고 우리 가족이 "이런 산속에서 수달이 어떻게 사나", "물도 없는데 어떻게 사나" 막 그런말을 하였다. 그런데 보니 물이 있었다! 옛날에 수달을 보긴 했지만 잘 기억이 안 났다. 그런데 오늘 수달을 보니 그때의 기억이 생생하게 났다 ...
컴퓨터로 친구에게 장난치기
기사
l
20161201
컴퓨터로 친구에게 장난치는 내용은 바탕화면에 '인터넷'이라는 바로가기 파일을 만들어서 친구들이 실제로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줄
알고, 눌러보는데 컴퓨터가 30초후에 종료된다는 창이 뜨는 것입니다. 아마 이것은 재미있는 기사가 될 것 같습니다! 그럼 내용 들어갈게요. 먼저 바로가기 파일을 만듭니다.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키를 누릅니다. ...
크리스마스트리 전구에 숨은 직렬 병렬의 비밀
기사
l
20161122
중요합니다). 직·병렬연결의 장점 : 220V에 사용할 수 있고, 더 많은 전구를 쓸 수 있습니다. 직·병렬연결의 단점 : 1개가 꺼지면 그
줄
이 모두 꺼집니다. 이렇게 전구 연결 방법에 대한 장점과 단점을 알려 드렸습니다. 이제 처음에 냈던 퀴즈를 맞춰보도록 하죠. 크리스마스트리는 직렬연결일까요? 병렬연결일까요? 직·병렬연결일까요? ...
메타톤이 내는 게임 초성퀴즈
포스팅
l
20161121
1. ㅁㅇㅋㄹㅍㅌ(힌트: 옛날에 전성기를 펼쳤던 명게임이죠)2. ㅋㄹㅅ ㄹㅇ(인기 참 많았어요)3.ㅇㄷㅌㅇ ( 이게임은 내용과 브금과 내용이 좋죠)4. ㅈㅇㅁㅌㄹㄷㅅ( 브금이 신나네요)5.ㅂㅇㅅㅂ ( 통 통 튀는 즐거움) 정답은 제가 시간될때 알려
줄
겁니다 ...
노래이어부르기
포스팅
l
20161120
볼빨간 사춘기/우주를
줄
께커피를 너무 많이 마셨나봐요 ...
지사탐 심화교육, 강촌천 민물고기탐사!
탐사기록
l
20161120
사는 망둥어로 배지느러미에 동그란 흡반이 있어 바위에 붙은채로 물살은 견딜 수 있답니다 사진출처 - kathy park 님 낙엽인
줄
알고 버리려했는데 잠자리의 애벌레였어요 이렇게 지형지물과 비슷한 모양을 해서 천적을 피하고 먹이를 잡아먹을 수 있답니다 이처럼 강촌천에는 물고기 말고도 잠자리 수채와 다양한 곤충들도 많았어요 ...
이전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