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 대비 요령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절대적으로 피하도록 한다. 3. 지진 대비 체크 리스트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미국 서부
지역
에서는 지진에 대비하기 위한 비상용품이 준비돼 있어 상점에서 쉽게 살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지진이 자주 발생하지도 않을 뿐 아니라 지진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아 비상용품을 따로 판매하는 ... ...
1. 생활 속의 디지털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아니라 친숙한 삶의 영역으로 내려와 인류의 삶 형태를 바꾸고 있는 것이다.최근 미국의
지역
전화 사업자인 사우스웨스턴사는 영사기 없이 영화를 상영하는 디지털 주문형 영화(Cinema on Demand)시스템의 개발을 끝냈다. 전통적인 영화상영 절차는 영화 제작을 끝내고 마스터필름을 기초로 수십개의 ... ...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가지지 못해 매우 취약한 구조방식이다. 그래서 미국의 서부와 같이 지진활동이 심한
지역
에서는 벽식구조의 사용을 크게 제한하고 있다.따라서 이 방식으로 건설된 고층 아파트는 고베 지진과 같은 큰 지진이 발생하면 거의 전부가 붕괴될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고층 아파트가 붕괴된다면 저층 ... ...
콜레라 전염 과정 밝혀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적절한 온도와 영양분이 갖춰지면 대폭 늘어난다. 과학자들은 앞으로 몇해 동안 해안
지역
에서 플랑크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리라 예상했다. 각종 오물로 인한 해양오염과 지구온난화 때문이다. 그렇다면 콜레라 발생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인공위성을 이용해 조류 생태를 감시, 콜레라 발생을 ... ...
당신의 발은 어떤 모양입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긴 사람들이 많고, 반면에 그리스에는 엄지발가락이 짧은 사람들이 많았던 모양이다.
지역
에 따라 발가락의 형태가 다른 이유는 사는 곳의 조건에 따라 유전형질이 조금씩 변한 결과라고 생각된다.그런 연유인지는 몰라도 발가락의 길이에 따라 발을 분류할 때는 엄지발가락이 둘째발가락에 비해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말도 안되는 소리다. 그것은 단지 생물 다양성을 연구하는 전문과학자의 80%가 우림
지역
에서 연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다."심해 계통학자는 드문 반면 새로 발견될 것으로 추정되는 동물 수는 아주 많기 때문에 심해에 서식하는 생물을 식별하는 데만도 수천년이 걸릴지도 모른다고 그는 ... ...
1년 교과서 교육보다 하루 현장실습이 효과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경이로움을 느꼈습니다. 미리 공부를 더 했더라면 보다 많은 것을 배웠을 텐데...길덕만
지역
별로 사진을 엮어 책을 만들면 다음 탐사팀을 비롯한 여러 사람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정희석그런데 이런 분야의 연구를 위해서는 체력이 튼튼해야 되겠어요.(웃음) 추운 벌판에서 몇시간씩 망원경을 ... ...
2. 산성비에 대한 탐구학습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보면 광주를 제외한
지역
에서 산성비가 내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대도시뿐 아니라 농촌
지역
에서도 산성비가 내린다. 95년 1월 24일자 동아일보는 중부지방의 농촌에 연평균 pH가 4.70의 강산성 비가 내린다고 보도하고 있다. 이로 미뤄볼 때 우리나라 전역에서 산성비가 내리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
1. 가상공간에 신인류·신문화 위한 새 지구 건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처음 아이디어를 낸 이 프로젝트는 전세계에 걸쳐 참가학교를 모아 환경 동물보호 등
지역
사회의 현안을 공동연구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웹에 올려놓는 것이다.'음식과 시장' 코너에는 타이의 오타코 야시장, 일본의 츄키지 어시장 등 각나라의 대표적 풍물들이 소개되고 '미미의 사이버식당' 에는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자원 확보를 위해 선진국들의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심해저 탐사는 해구와 호상열도 주변
지역
으로 확대됐다. 현재는 선진국 뿐 아니라 많은 나라에서 해양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해 배타적 경제수역에 있는 열수광상을 탐사해 기득권을 얻으려고 뛰어들고 있다.심해저 탐사 어떻게 하나 ... ...
이전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