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환경과 장묘문화가 만든 시간의 마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걸쳐 이어진 ‘알타이 산맥’에도 수십 구의 냉동미라가
발견
됐다. 이곳에서
발견
된 ‘얼음공주 미라’도 사망 후 2000년이 지나도록 피부에 새긴 문신 모습이 그대로 남아있다.알타이 고원에 살았던 파지릭 문화 사람들은 사람이 죽으면 시산의 내장을 빼고 약초를 채운 후, 발삼(침엽수 분비물. ... ...
Part 1. 눈과 귀 사로잡는 오디션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본인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프로그램 속 경쟁을 참가자가 자기실현과 자아
발견
을 위해 필요한 장치였다고 이해하기 때문이다.실제로 사람들은 돈으로 얻는 행복보다 경험과 같이 기억에 남는 행복에 더 가치를 느낀다. 미국 일리노이대 에드 디너 교수팀이 2005부터 2년간 132개국 13만 6000명에게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있는 충분한 양의 분화된 세포를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1998년 인간배아줄기세포가
발견
된 지 13년 만에 본격적인 ‘2세대 줄기세포 치료’의 시대가 막 열리고 있다. 2006년 선을 보인 유도만능줄기세포나 지난해 발표된 직접교차분화 역시 10년쯤 지나면 ‘3세대 줄기세포 치료’의 시대로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베이커 교수는 자기력을 2T 정도 주면 신경세포의 정보 전달 속도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1985년,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마침내 베이커 교수팀은 TMS를 개발했다.][DBS와 TMS는 정확한 자극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영상유도장치가 개발돼 있다.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장치(MRI)로 환자의 ... ...
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발견
까지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본다. 하지만 인류가 가장 애타게 찾고 있던 두 입자의
발견
이 점차 가시권에 들어오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우리는 정말 우주 궁극의 비밀을 품은 신의 입자와 어둠의 입자를 찾을 수 있을 것인가.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좇고 있는 실험가도, 책상 위에서 이론의 바다를 떠도는 이론가도 모두 힉스입자가
발견
되기를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좀 더 심화된 내용을 보고 싶은 독자는 과학동아 홈페이지에서 원문(긴글)을 읽을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Part 1. 우주에 질량을 ... ...
네안데르탈인의 마지막 은신처를 알려준 고대 도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러시아에서 원시인류가 썼던 도구가
발견
됐다. 과학자들은 이 도구를 3만 3000년 전 네안데르탈인이 썼던 것으로 추정한다. 이번
발견
이 맞다면 네안데르탈인은 현생인류와 꽤 오랜 기간 함께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5일 미국물리학회에서 “2010년 1월부터 15개월간 관측한 결과 희미하지만 계절별 차이를
발견
했다”고 발표했다. 암흑물질 검출 경쟁에 대해 금용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자료가 축적되는 3년 뒤에는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검출될 수 있다는 것. 만일 반헬륨원자핵뿐 아니라 반탄소원자핵, 반산소원자핵도
발견
된다면 정말 우주 어딘가에는 반물질로 이뤄진 별과 은하가 존재할지도 모른다.물론 이 프로젝트에 대해 “쓸데없는 데 돈을 쓴다”며 마땅치 않게 생각하는 과학자들도 많다고 한다. 이 정도 실험이라면 ... ...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한 적이 없었다. 그러나 이번만은 꽤 기분 좋은 듯 했다. 국내에서는 한탄 바이러스를
발견
한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와 신희섭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장에 이어 세 번째인데다가 물리학자로서는 처음이다. NAS에는 노벨과학상 수상자만 200여 명이다. 말 그대로 최고의 과학자 ... ...
이전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