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아주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빅뱅 이론에서는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가진 아주 뜨겁고
작은
한 점이 폭발한 뒤 팽창하면서 식어 현재 약 3K(약 -270℃)이라는 차가운 우주가 형성됐다고 본다.앨리스 실험에서 구현하려는, 태양 중심보다 10만 배나 높은 온도는 바로 빅뱅 직후 100만분의 1초가 경과한 ... ...
2. '블랙홀 공장'짓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수 있는 에너지보다 약 1016배나 많다. 따라서 중력은 LHC에서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영향만 미친다.하지만 초미시세계에서 중력의 역할이 미미하다고 가정하는 초끈이론은 매우 흥미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초끈이론에 따르면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는 실제로 11차원 또는 10차원이며 따라서 ... ...
화성 북극에서 얼음 찾았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스노우 퀸’이라고 이름을 지어줬다. 군데군데
작은
자갈들이 있었고 깊이 10cm의
작은
고랑이 약 5m 간격으로 격자무늬를 이루고 있는 점이 특이했다. 그러고 보니 이 무늬는 지구의 극지방 영구동토층에 나타나는 무늬와 매우 비슷했다. 지구에서는 온도가 떨어지면 땅속의 물이 얼어붙었다가 ... ...
전자의 '이상행동'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비례하기 때문에(옴의 법칙) 전압을 높이면 전류가 증가한다. 그러나 나노미터 같이
작은
세계에서 전압을 높이면 전류가 계단식으로 증가한다.양자전도이론연구실 심흥선 교수와 박사과정 윤석찬 씨는 전압을 높일 때 전자가 지닌 파동과 입자의 성질이 계속 바뀐다는 연구 결과를 물리학 분야 ... ...
여름방학과 여름휴가를 수학책과 함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리만 가설’이다. 리만 가설은 독일의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이 주어진 숫자보다
작은
소수의 갯수를 구하는 규칙을 연구하다가 생각해낸 추측이다. 즉 ‘제타 함수의 자명하지 않은 모든 근들은 실수부가 1/2이다’로 표현된다.'수학자인 저자는 일반인은 도저히 무슨 소리인지 알 수 없는 리만 ... ...
물 속과 물 밖, 양쪽에 알 낳는 개구리 발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속에 알을 낳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했다. 그늘이 없는 땅과 그늘이 많은 숲에 각각
작은
연못을 만들어 광대청개구리를 놓아둔 것. 그 결과 그늘이 많은 숲의 개구리들은 물 밖에 알을 낳았고, 그늘이 없는 땅의 개구리들은 물 속에 알을 낳았다.타우천 박사는 “이는 개구리들의 행동이 환경에 ... ...
도마뱀이 두 발로 달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연구팀은 주먹만 한 종류에서부터 몸 길이가 1m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경주도마뱀들을
작은
러닝머신 위에 올려 놓고 속도를 조정하며 도마뱀이 언제 두 발로 뛰고 언제 네 발로 뛰는지를 관찰해 분석했다.관찰 결과 도마뱀이 두 발로 뛸 때 네 발로 뛸 때보다 더 빨리 달린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 ...
유방 흔들림 잡아줘 쿠퍼 인대 보호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56%가 달릴 때 흔들리는 가슴에 통증을 느낀다고 보고했다.한국 여성의 가슴은 이보다
작은
편으로 나타났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이 지난 2003년부터 2년간 조사해 발표한 ‘한국인 표준 사이즈’에 따르면 20대 여성의 평균 가슴둘레는 82.2cm, 브래지어 사이즈는 75A다. 40대 여성은 88.5cm에 80A였다. ... ...
다윈도 깜짝 놀랄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큰 그룹은 큰 땅 핀치와 경쟁으로 대부분 죽었지만
작은
씨앗을 먹는데 적합한 부리가
작은
그룹은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높았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죽은 새들의 위를 부검한 결과 모두 텅 비어 있었다”며 “먹이 수급 변화나 다른 종의 존재로 인한 굶주림이 한 종의 진화 방향을 결정짓는 ... ...
밤하늘에 흐르는 '용이 노니는 냇물' 은하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먼 행성이 된 해왕성은 밝기가 8등급 정도로 맨눈으로는 볼 수 없다. 하지만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이 있다면 이날 밤 달과 ‘숨바꼭질’하는 해왕성을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을 전망이다.해왕성이 달 뒤로 들어가는 시각은 밤 8시 27분이지만, 이날 달이 밤 9시 2분에 뜨기 때문에 9시 30분 해왕성이 ... ...
이전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