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인간과 기계와의 대화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컴퓨터의 키보드를 두드리는 번거로움이 없이 말(음성)로써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고 역시 말로써 우리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컴퓨터로부터 받을 수는 없을까 ... 연구결과들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컴퓨터언어학은 언어학과 컴퓨터과학의 긴밀한 협조
아래
서 앞으로 더욱 발전할 것이다 ... ...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교수가 되고 계속 승진을 할텐데…, 전쟁터에서 돌아오는 학생들이 여성의 발
아래
서 공부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면 어떻게 생각하겠느냐"는 것이었다. 이에 분개한 힐베르트의 말이 유명하다. "강사로 임명하는데 여성임이 문제가 되는 것이 나로서는 이해가 안 된다. 대학이 목욕탕은 아니지 ... ...
푸른 생명이 넘실대는 유일한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여러가지 색을 띠는 발광체가 된다.지구관 지하로 들어서면 '대자연의 하모니'란 주제
아래
프리쇼가 전개된다. 프리쇼란 말 그대로 본 주제를 이해하기 위한 사전 준비작업. 공해와 문명에 때묻지 않은 숲속공간을 연출해 관람객들이 오감을 통해 자연의 생명력을 느낄 수 있도록 연출할 계획이다.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망원경을 준비하고 시상이 좋은 상태를 기다려 관측한다면, 이번 달에 북적도 벨트
아래
에 있는 여러개의 줄무늬를 볼 수 있을 것이다.남적도 벨트를 자세히 관측하다 보면 계란모양의 물체가 걸쳐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대적반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보통 때 명암이 선명하지 못하여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6대의 비디오카메라를 지니고 있다.만약 계획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다면 단테는 화구
아래
쪽으로 2백60cm(24~36시간 소요된다)를 내려가 용암과 가스들을 수집해왔을 것이다.지금까지 어떤 인간의 발자국도 허용하지 않은 에리버스산이 단테의 접근도 일단 불허했으나 오래지 않아 통행증을 발부할 ... ...
초고속선 개발 경쟁시대 왔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개발중이며 이를 계기로 조선산업의 재건을 도모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정부의 지원
아래
여러 조선소가 연구조합을 결성해 적어도 모든 조선소가 개발하고자 하는 선형에 관계없이 공유할 수 있는 핵심기술을 공동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초고속선 개발에 필수적인 고속 예인수조 등의 ... ...
④ 소리 발생에서 듣기까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같다. 조음점에 의한 분류이 분류는 고정부(입천장 윗니 윗입술 등)에 능동부(혀 아랫니
아래
입술)가 닿는 점을 기준으로 자음을 분류한 것이다.1. 양순음 - 상하 두 입술을 다물었다 내는 소리로 /ㅂ ㅍ ㅃ ㅁ/ 등이 이에 속한다.2. 치조음 - 혀를 윗니 바로 뒤의 치조에 대고 조음하는 소리로 /ㄷ ... ...
러시아 「인공 달」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줄 수 있다고 한다.이 우주거울 설치계획은 NPO에네르기아사(NPO Energia space company)의 주도
아래
러시아의 공기업들과 공공단체들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이뤄졌다.우주에서 거울을 거대한 스포트라이트처럼 사용하려는 착상은 1929년 헤르만 오베르트라는 독일과학자이자 우주공상가가 최초로 제기했다.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가대의 연결부분을 조립한다. 가대는 수직상태에서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고 위에서
아래
로 넣어야하며 그 형태에 따라 구멍을 정확히 찾아 넣은 후 완전히 고정시켜야 한다.다리 위에 몸통인 가대를 조립했으면 무게균형추의 축을 가대에 부착한다. 무게균형추의 축은 그 형식에 따라 약간의 ... ...
색채과학의 르네상스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그런데 이러한 색의 항상성도 언제나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불고기를 푸른 빛
아래
서 보면 아무리 그걸 먹고 싶었던 사람이라도 그 순간 입맛이 싹 가실 것이다. 마치 고기가 썩은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기억색은 어떤 경우에는 작용하고 어떤 경우에는 작용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 ...
이전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