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서울 15년 내 규모 6.5 지진 가능성 57%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활동에 의해 발생된다. 한반도의 대부분 단층
방향
은 북북서-남남동
방향
과 북동-남서
방향
으로 이루어져 있다.한편 서울을 비롯한 부산 평양 등 인구 밀도가 높고 산업시설이 밀집한 지역들이 공교롭게도 단층 근처나 단층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지역은 큰 지진에 의해 수 차례 피해를 입은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가능한 것이면 된다. 필름은 최소한 필름감도(ISO) 400은 돼야 한다. 그리고 카메라를 혜성
방향
으로 향하게 한 다음 셔터를 누르면 된다. 노출 시간은 15초에서 약 1분까지 다양하게 한다. 이렇게 해 보면 필름 상에 혜성의 코마와 꼬리가 흐릿하게 나타나 있을 것이다.별의 일주사진을 찍듯이 장시간 ... ...
1. 힘과 운동-그래프 해석 중요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어떻게 꾸며져 있을까?☆앞으로 나아갈 때 지느러미를 어떻게 움직일까?☆멈추거나
방향
을 바꿀 때 각 지느러미는 어떻게 움직일까?이때 어떤 힘이 작용할까?유글레나와 같은 원생생물은 채찍처럼 생긴 편모라는 꼬리로 물을 치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오징어는 옆에 달린 지느러미를 사용해서 ... ...
1. 대도시에 지진이 일어난다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사용되고 있다. 특히 고층 아파트건물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길게 설계돼 있어 건물의 길이
방향
으로는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지만 지진의 영향은 매우 크게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고층 아파트는 지진에 대비한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최근에는 고층 아파트에도 철골구조방식이 적용되기 ... ...
아마추어천문 단계별 입문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때문이다.Ⅱ. 길잡이별과 별자리를 익히자
방향
과 모양, 눈에 익혀야북극성을 찾아
방향
을 잡은 후 다음 할 일은 계절의 길잡이별을 찾는 일이다. 계절의 길잡이별이란 각 계절에 가장 잘 보이는 별로 하늘의 이정표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먼저 별의 일주운동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어느 계절의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시작했다. 퍼득거리는 날개소리의 합창이 요란했다. 가창오리가 탐사팀의 머리 위로
방향
을 돌리자 하늘이 완전 새까맣게 덮여 버렸다.탐사팀과 금강에서 만나 동행한 독일 훔볼트대 조류학자와 한국학자 2명은 벌린 입을 다물지 못했다. 가창오리가 멀리 날아가자 한국학자는 안타까워 "얘들아, ... ...
4. 세제 세탁속에 숨어 있는 '보이지 않는 손'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발생시키므로 전 세계적으로 그 함유량을 규제 받고있다.최근 의류용 세제의 발전
방향
은 전 세계적으로 일고있는 환경오염 문제와 사용상의 편리성을 추구하기 위해 농축화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농축세제는 보통세제의 2분의 1 또는 그 이하를 사용해도 같은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 ...
치아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있어 널리 권장되고 있다. 이는 칫솔모를 잇몸 깊숙이 대구 잇몸쪽에서 치아의 씹는 면
방향
으로 손목을 돌리면서 치아와 잇몸을 쓸며 닦는 방법이다.우선 치아 2-3개 정도 덮을 정도의 길이를 한 부위로 설정하고 그 부위에서 약 10회 정도 회전운동을 계속한뒤 옆 부위로 이동 한다. 앞니 안쪽을 닦을 ... ...
전륜과 후륜의 차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타고 주행할 경우와 여러명이 승차했을 경우 차의 반응은 다르다. 심한 경우 바람이 부는
방향
에 따라서도 주행특성은 영향을 받게 된다.같은 전륜구동방식이라도 차종에 따라 언더스티어현상이 일어나는 정도가 틀리다. 이는 중량배분이 어떤 식으로 됐느냐에 따라 좌우된다. 중량이 한쪽부분에 ... ...
잇따른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산과 바다, 그리고 대륙들을 촬영할 것이다."충격적인 이 발표는 NASA가 앞으로 나갈
방향
을 송두리채 바꿔 놓을지 모른다. 외계행성의 표면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축구장만한 거울을 제작해야 한다. 과연 가능한 일일까. 천문학자들은 그렇게 큰 망원경을 어떻게 만들어낼 것인지 잘 알고 있다 ... ...
이전
487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다음
공지사항